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뉴스
"
세균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학부생이 세계적 저널에 논문 발표
과학동아
l
2014.05.29
단 몇 초 안에 박테리아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추가 연구를 진행하면 병원 등에서
세균
검사를 받을 때도 결과를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조 씨의 지도교수는 같은 과의 박용근 교수. 박 교수는 학부생들을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시켜 지금까지 여러 명의 이름을 세계적 저널에 올렸다 ... ...
오동나무에서 조류독감 치료 물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0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천연색소 물질이 복막염이나 가스 괴저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
과 어떻게 결합해서 기능을 억제하는지 원자 수준에서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 오동나무에서 추출한 물질은 구조상 사람 몸에 다른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엄 교수는 ... ...
가축에게 항생제 대신 '양파' 먹여보세요
과학동아
l
2014.05.20
사용량은 크게 줄었다. 가축에 쓴 항생제 탓에 항생제 내성
세균
이 생기고, 이
세균
이 사람에게 감염되면 치료가 어렵다는 보고가 잇따랐기 때문이다. 최근 농촌진흥청 영양생리팀 연구진은 항생제를 쓰지 않고도 닭을 건강하게 기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농가의 고민을 덜어줄 전망이다. ... ...
파란 장미-미니 무궁화-시들지 않는 카네이션… "꽃보다 과학"
과학동아
l
2014.05.02
식물 뿌리에 혹을 만드는데, 이때 자신의 유전자를 식물의 유전자 사이에 끼워 넣는다.
세균
속에 있는 피튜니아의 청색 유전자도 함께 주입되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야생화인 매발톱꽃의 청색 유전자를 주입해 파란 장미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분자유전학적인 방법으로 ... ...
온실가스 잡는
세균
있다
과학동아
l
2014.04.28
등 우리가 이용하는 가스는 모두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세균
의 sMMO를 이용하면 공기 중의 메탄, 프로판, 부탄을 수용액 속에 잡아 둘 수 있을 것”이라며 “효소를 이용하면 온실효과도 막고 에너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 ...
[헬스&뷰티]“관절에만 영향?…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질환”
동아일보
l
2014.04.23
“류머티스 관절염의 원인으로는 감기나 독감 바이러스, 흡연, 치주염을 일으키는
세균
등이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최근에 미세먼지와 스모그 또는 스트레스도 류머티스 관절염 원인에 상당 부분 관여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최근엔 젊은층에서도 질환이 많이 발생한다. ... ...
[헬스&뷰티]
세균
… 바이러스… 우리아이 호흡기, 봄이 두렵다
동아일보
l
2014.04.23
미숙아까지는 보험 적용 받을 수 있다. 전경만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
세균
성 호흡기 질환보다 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질환의 경우 사실상 치료법이 거의 없다”며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는 개인위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예방접종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관리해줄 필요가 있다”고 ... ...
위독한 신생아에 박테리아가 특효약?
과학동아
l
2014.04.21
연구진이 장내 미생물이 면역력도 키울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갓 태어난 아기가
세균
감염으로 위독할 때 항생제를 먹이는 것보다 장내미생물을 투여하는 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결론이다.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CHOP) 스캇 워덴 박사팀은 어미 쥐로부터 물려받은 ... ...
코 안에 종기 잘 생기는 분~ 비누 쓰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4.04.09
황색포도상구균이 쥐의 코 속에서 군집을 더 잘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
세균
을 없애는 것으로 알려진 트리클로산이 오히려 콧물의 단백질에 황색포도상구균이 잘 붙게 돕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미생물학분야 학술지인 ‘엠바이오®’ 8일자에 실렸다. ... ...
제주도 곶자왈에 갔더니 생전 처음 보는 미생물이…
과학동아
l
2014.04.07
것. 연구팀이 이들의 유전정보를 검사한 결과, 이미 등록돼 있는 1만 여종의
세균
과 7%나 염기서열이 달랐다. 나아가 연구팀이 이 미생물을 유전정보가 비슷한 대장균(Escherichia coli)이나 근류균(Bradyrhizobium japonicum) 등과 비교한 결과, 단순히 신종이 아니라 더 상위의 분류체계인 속에서 갈라진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