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뉴스
"
셀
"(으)로 총 1,07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첫 노벨과학상, 제가 토대를 쌓겠습니다”
2016.01.03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한다는 사실과 메커니즘을 규명해 ‘사이언스’(2010년)와 ‘
셀
’(2012년)에 연달아 발표했다. 현재는 비신경세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치료법을 찾는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연구단장의 단골집에서. KIST는 국내에서 ... ...
마이크로RNA 생성 열쇠의 3차원 구조, 드디어 밝혔다
2016.01.01
‘드로셔(DROSHA)’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 ‘
셀
’ 31일 자에 발표했다. 이름처럼 작은 유전 물질인 마이크로RNA는 전구체(前驅體)로부터 2단계에 걸친 정확한 절단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마이크로RNA 전구체를 절단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 ...
식물은 햇빛 없이도 자랄 수 있다, O일까 X일까
2015.12.28
세포생물학 교수팀은 그늘진 환경에 처한 식물이 성장을 촉진시키는 새 원리를 확인해 ‘
셀
(Cell)’ 24일 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다른 식물에 가려 빛의 양이 줄어든 식물은 적색에 민감한 색소인 ‘피토크롬’으로 적색광을 감지한 뒤 생장호르몬인 ‘옥신’의 양을 늘려 성장을 촉진하는 ... ...
호랑이 줄무늬, 얼룩말 무늬…동물 무늬 수학으로 나타낼 수 있나
2015.12.28
관여하는 변수를 밝혀 여러 가설을 아우르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고 ‘
셀
’의 자매지 ‘
셀
시스템스(Cell Systems)’ 23일 자에 발표했다. 생명체가 만드는 패턴을 수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1952년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이 발표한 ‘반응-확산 모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튜링은 ... ...
연말 폭음 막는 힘 ‘간’에 있다
2015.12.27
원숭이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왔다. 연구 결과는 ‘
셀
’의 자매지 ‘
셀
메타볼리즘’ 2월 9일자에 실릴 예정이다. 한편 같은 날 같은 학술지에는 FGF21 호르몬의 작용기전을 밝힌 연구 결과도 실린다. 덴마크 코펜하겐대와 영국 버밍엄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쥐가 설탕을 ... ...
대학생이 뽑은 2015년 신조어… 1위는 ‘금수저’
동아닷컴
l
2015.12.24
뜻의 ‘삼포세대’가 자주 쓰였지만 여기에 내집마련, 인간관계, 꿈 등이 추가되며
셀
수 없이 많은 것들을 포기해야 하는 처지를 담아 ‘N포세대’로 불리게 됐습니다. 2위 헬조선 2위는 ‘헬조선’이 이름을 올렸는데요. 한국의 여러 상황이 지옥과 같다는 단어입니다. 1위 금수저 대망의 1위는 ... ...
[신나는 공부]스스로! 절실하게! 드라마틱하게!
동아일보
l
2015.12.22
지식을 비로소 ‘나의 것’으로 만들었다는 훌륭한 증명이다. 진성고 생명과학동아리 ‘
셀
레틱스’에서 활동한 김지훈 군(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합격)은 ‘면역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역할’을 두고 동아리원들을 상대로 발표를 한 경험이 있다. 김 군은 “발표를 하려면 해당 내용을 단순히 ... ...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눈으로 보니
2015.12.09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 몸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이 손상을 입거나 수명이 다한 ... 개발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몰레큘러
셀
(Molecular Cell)’ 11월 19일자에 실렸다. ... ...
살 빼고 싶다면 그저 추울 때 돌아다녀라
2015.12.08
증진시키고 지방이 효과적으로 타는 등 ‘체중감량’ 효과가 나타난다고 국제학술지 ‘
셀
’ 3일자에 발표했다. 그동안 추위는 운동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고 알려졌다. 추운 환경에 있을 때 체온을 높이기 위해 지방을 연소시키고 포도당 대사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런 활동이 ... ...
뇌가 느끼는 좋은 집짓기 ‘신경건축학’을 아시나요
2015.12.06
박사와 매슈 윌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2006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
셀
’에 발표하기도 했다. 자폐증 자녀를 둔 건축가 조명민 밀리그램 대표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자폐 아동들은 예민해서 잠을 잘 못 자는데 벽지를 분홍색으로 바꿔 줬더니 금세 잠이 드는 것을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