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뉴스
"
셀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고통스러운 느낌을 받는 경로가 별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
셀
’ 16일자에 발표했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뜨거워 보이는 물체를 바로 잡지 않고 살짝 건드려보고 어떻게 할지 판단한다. 과거에 고통을 유발한 상황이 뇌에 저장돼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인체가 통증을 ... ...
매머드 때문에…황우석 박사, 박세필 교수 등 고소
2015.07.15
박세필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교수와 정형민 건국대 줄기세포교실 교수, 김은영 미래
셀
바이오 대표 등 3명을 횡령과 공갈미수 혐의 등으로 지난달 18일 고발했다고 밝혔다. 학계에서도 황우석 박사와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박세필 교수를 황 교수가 고발한 데는 황 박사가 제공한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울산과학기술대(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이 세계적인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 ‘
셀
리포트’ 6월 30일 자에 실렸다. 포스텍 생명과학부 91학번인 도 교수는 국비장학생으로 2003년 미국 버지니아대 의대로 유학을 가서 면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 랠프 스타인먼 미국 록펠러대 교수 연구실에서 ... ...
‘유전적 사촌’ 매머드와 코끼리, 뭐가 다를까요
2015.07.03
털매머드의 긴 털과 풍부한 체지방, 추위에 무딘 성질이 오늘날 코끼리에는 없는 유전자 변이 덕분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 자이언트 스크린 필름 제공 480만 년 전 ... 생존을 위해 빙하기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셀
’ 자매지 ‘
셀
리포트’ 2일자에 실렸다.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사실이 밝혀지면서 6mA의 기능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번에 ‘
셀
’에 실린 논문 세 편은 각각 클라미도모나스와 예쁜꼬마선충, 초파리의 게놈에서 6mA의 분포를 분석하고 있다. 먼저 상대적으로 6mA의 빈도가 높은 클라미도모나스의 결과를 보면 이 염기가 게놈 위에 임의로 ... ...
초소형 휴대전화 기지국 ‘스몰
셀
’ 국산화 성공
2015.06.22
수 있어 파급효과 역시 상당할 걸로 보고 있다. 정현규 통신인터넷연구소장은 “스몰
셀
기술은 차세대 휴대인터넷 서비스인 5G에 꼭 필요한 기반 기술”이라며 “이번 기술 개발은 5G 이동통신 시장을 선점하고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멀리 돌아가도 좋다. 서툴러도 괜찮다”
2015.06.07
휴머니스트 제공 ■ 아주 특별한 생물학 수업(장수철, 이재성 著, 휴머니스트 刊) “
셀
(cell)이 뭘까.” “판다(sell)?” 이재성 서울여대 교수는 장수철 연세대 교수에게 ‘생물학 수업’을 듣는다. 국문학자인 이 교수는 ‘일반인 아저씨’의 입장을 대변해 생물학자 장 교수에게 평소 궁금한 ... ...
암세포 자살하게 만드는 단백질, 봉인 해제
2015.06.01
교신저자인 김유선 아주대 의대 교수(왼쪽)와 제1저자인 구기방 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제공 암세포가 방사선 치료나 독한 항암제가 투여된 극한 상황에서도 죽지 않는 ... 이 기술에 대해 국내외 특허출원을 마쳤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
셀
리서치’ 5월 8일자에 실렸다. ... ...
장수하려면 저단백-고탄수화물? 고단백-저탄수화물 아니고?
2015.05.31
비율을 높인 식단이 칼로리 제한과 유사하게 장수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
셀
리포츠(Cell Reports)’ 28일자에 발표했다. 칼로리 섭취를 줄이지 않고도 비만과 당뇨 위험을 줄일 수 있어 다이어트 식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테펜 심슨 호주 시드니대 찰스페킨스센터 ... ...
‘경찰 RNA’ 만드는 단백질 복합체 구조 규명
2015.05.29
드로샤 단백질 복합체를 균일하게 정제하는 데 성공해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
셀
’ 2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드로샤는 다른 단백질과 결합한 복합체 형태로 존재한다. 드로샤가 몸통이면 여기에 ‘DGCR8’이라는 단백질이 양팔처럼 2개 붙어 있다.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려면 정제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