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스페셜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992건 검색되었습니다.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原獸亞綱, 오리너구리 같은 단공류)과 새끼를 낳는 수아강으로 나뉘고 수아강은
다시
태반포유류와 유대류로 나뉜다. 그런데 게놈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오늘날 인간으로 이어온 Y염색체 진화는 수아강에서부터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Y염색체의 기원은 기존의 3억 년(포유류와 조류가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타고 온다는 하와이의 전설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쿡의 선단은 하와이를 출발해
다시
북상하여 북서항로를 발견하려 했지만 태풍 때문에 하와이로 기수를 돌렸다. 이것이 쿡의 ... 일쑤였지만 큰 말썽 없이 하와이를 출발하여 탐험에 나설 수 있었다. 그러나 태풍을 피해
다시
하와이로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세 가닥의 실이 있을 때의 변형 방법이다. 세 경우 모두 왼쪽의 실을 중간에 자르거나
다시
붙이는 일 없이 적당히 변형시키면 오른쪽의 형태를 얻을 수 있으며 화살표 양쪽의 매듭은 수학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생물학 외에도 매듭론은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국내에서 발표된 것 중 중요한 사례로는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젖을 만드는 새 구조를 성장시킨다고 한다. 윌리엄스는 책에서 “이유기가 되면,
다시
전환이 일어나 젖샘이 막히고 수축된다. 매 임신마다 젖가슴은 스스로를 만들고 해체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고 쓰고 있다. 또 “임신한 적이 없는 여성일지라도, 젖가슴은 만약을 대비해 매달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원점에서 재검토하기 위해 엄격한 조건 아래에서 이 물질들로
다시
동물실험을 했다. 그 결과 놀랍게도 수명연장 효과를 보이는 게 하나도 없었다. 심지어 미미한 약효(수개월 수명 연장)가 인정돼 승인된 릴루졸 조차도 효과가 없었다. 페린 박사는 잘못된 동물실험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둥지 밑으로 떨어진 적도 있었다. 그 녀석한테 파리도 잡아 먹이며 한참을 데리고 놀다
다시
올려준 기억이 난다. 가을이 오고 어김없이 제비는 둥지를 뒤로 하고 갈 길을 떠났다. ‘내년에
다시
올까?’ 이듬해 봄 어느 날, 놀랍게도 정말 제비가 돌아와 부산스럽게 집을 지을 채비를 ... 아무튼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
KOITA
l
2014.04.17
모양과 강도를 갖도록 만들 방법은 무엇일까.이들이 낸 아이디어의 핵심은 단순했다.
다시
찰흙을 생각해보자. 고운 흙에 물을 넣으면 진흙이 서로 연결되며 끈끈한 찰흙이 되고, ... 능력이다(37쪽 박스 참조). 균사체 덕분에 버섯® 재료는 금이 가거나 부서져도 스스로
다시
달라붙는다.이제까지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물이 되고 위로부터 대기의 압력을 받는 피스톤이 아래로 내려온다. 피스톤이 아래로 내려올 때 또
다시
보일러의 뜨거운 증기가 차가워진 실린더를 데워
다시
피스톤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다. 애써 물을 데워 증기로 만들었다가
다시
냉각시켜 물로 만들게 되므로 열이 낭비되는 ... ...
[채널A] 빌 클린턴 “별에서 온다고 놀라진 않을 것”
채널A
l
2014.04.07
이영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상과학 영화에나 등장하는 외계인의 존재가
다시
한 번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빌 클린턴/전 미국 대통령(어제) 외계인이 추락했다고 알려진 '51지구'(뉴멕시코주 로스웰 지역)의 자료를 모두 뒤졌지만 외계인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태양이 있고 밀도가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성공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는 약 50만 년 전에 갈라졌고 그 뒤
다시
만났을 때는 이미 서로 다른 종이 돼 피가 섞이지 않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는 당시 고인류학계의 주류가설인, 현생인류의 ‘아프리카 단일 기원설’에 부합하는 결과였다. 이 연구는 1997년 학술지 ‘셀’에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