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스페셜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9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물리학과 졸업 뒤 석사과정으로 경영학을 공부할까 시도했지만 영 흥미를 못 느끼고
다시
물리학으로 돌아와 듀크대 박사과정을 들어갔고 여기서 아내가 될 매카시를 만났다. 그는 ... 그의 부모는 1차 세계대전을 피해 영국으로 건너온 벨기에사람으로 전쟁이 끝나자
다시
벨기에로 돌아갔다. ... ...
㈜동부대우전자의 신제품 개발 성공사례
KOITA
l
2013.12.19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해야 한다. 반복적인 활동 과정에서 대부분 도출된 아이디어들은
다시
연결과 융합, 재결합의 과정을 거쳐 더 크고 발전된 아이디어로 재탄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점수는 고작 20점 수준이었다. 역시 소음과 진동, 배수관이 문제였다. 이의 개선을 위해
다시
... ...
그래비티, SF영화의 전설로 남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멀어지는데 만일 질량 5킬로그램인 스패너를 갖고 있었다면, 그는 어쩌면 산드라 블록과
다시
만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주복을 입은 그의 질량이 95킬로그램이라면, 스패너를 우주정거장 반대방향으로 힘껏 던져 속도가 초속 20미터만 넘으면(우주정거장 기준) 클루니는 블록을 향해 이동할 수 있기 ... ...
[웹툰] 오줌 분수
KOITA
l
2013.12.12
했습니다. 그리고 얼마니(유명 메이커) 향수로 화장실을 도배했습니다. 이제 화장실은
다시
향긋한 내음으로 다가옵니다. 지금 우리는 오줌 분수를 뿜었던 오줌통을 보며 흐뭇한 미소를 짓습니다. 그리고 코 한번
다시
대어봅니다. 오~~~~~수멜~~~~ 여러분! 이제 화장실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5동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훨씬 우수했다. 재미있게도 미국인 건축가가 조선으로부터 도입한 온돌난방기술은
다시
전쟁 후 경제성장기의 한국으로 역수입된다. 바닥을 데우는 것이 미국인에게는 아직 생소할 때인데다 건물을 빠르게 늘려야 했던 한국의 사정에 개량 온돌의 간편함과 효율성이 딱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 ...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있다. 피조가 실험했던 방식 그대로는 아니지만, 톱니바퀴 틈으로 빛을 통과시킨 후
다시
되돌아오는 빛을 측정하여 빛의 속력을 계산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국립과천과학관에 ... 톱니바퀴가 천천히 돌 때는 톱니바퀴 틈을 통과한 빛이 5.5km 광케이블을 지나서
다시
되돌아 왔을 때 처음 지났던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있던 점과 정보를 새로 받은 이웃의 두 점, 도합 세 점이 정보를 보유한다. 세 개의 점은
다시
이웃한 점에 정보를 전달하며 이 과정은 시간 가 지날 때마다 계속 반복된다. 결국 ... 강변하는 서비스가 유행했다. 그러나 한차례의 인기가 지나간 지금, 온라인 서비스는
다시
단순한 형태로 돌아갔다.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이상 할 일이 없다는 것이다. 2000년 여전히 맥아더 장학금으로 생활하고 있던 프로펫은
다시
하버드대로 돌아와 수학을 공부했는데 당시 이미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었다고 지인들은 ... 있고 알레르기 가설도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는 분위기다. ●알레르기 없는 게 다행?
다시
알레르기 얘기로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사실을 아는 정도다. 그러나 해양지질학은 영토분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다시
논쟁이 점화된 한일 공동개발지역(JDZ)의 영토권 분쟁에서도 지질학적 정보가 주역이었다. JDZ는 제주도 남쪽, 오키나와 해구 인근의 해역으로 한중일 3국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힌 곳이다. JDZ는 박정희 전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톱니처럼 변화한다고. 즉 낮에 활동할 때는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밤에 잠을 잘 때는
다시
줄어든다고. 다만 감소하는 양이 앞서 증가량을 완전히 상쇄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완만하게 증가하는 곡선으로 보인다는 것. ‘대단한 구라’라고 생각하면서도 그 뒤 십 수 년 동안 잠의 과학에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