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열"(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11
- 염기의 어긋남을 인지하고 우라실을 잘라내며, 이어서 다른 효소들이 협동해 DNA 염기서열을 정상적으로 복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1974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DNA 복구’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열어젖힌 기념비적인 성과였다.짝을 잘못 찾은 염기를 바로잡는 표지판1946년 미국 뉴멕시코주의 작은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10
- SNP)을 읽어냈다. 사람과 사람은 유전자의 99.9%가 동일하고 0.1%만 다르다. 차이는 염기서열 특정 위치에서 나타하나의 형질은 인접한 여러 개의 SNP가 함께 결정한다. 마치 물감이 섞여서 색을 내는 것과 유사하다. 기자의 비만위험도를 예로 들면 18번 염색체의 MC4R, 16번 염색체의 FTO, 4번 염색체의 GNPDA2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08
- 결합해 전사효소를 불러와야 한다. 뉴클레오솜이 오밀조밀 뭉쳐있다면 전사인자가 목표 서열에 결합할 수 없다. 이렇게 전사가 어려운 빡빡한 염색체를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이라고 부른다. 반대로 뉴클레오솜 사이에 간격이 충분해 전사가 용이한 상태는 진정염색질(euchromatin)이라고 한다.유전체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08
- 조금 더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이쪽이다. lncRNA는 짧은 비암호화 RNA와 달리 보존된 서열을 찾기 어렵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lncRNA를 여러 방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예를 들어 X염색체에 있는 lncRNA인 X염색체 불활성화조절자(XIST)는 염색체 구조를 결정하는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07
- 원래는 DNA 여러 개의 염기서열을 서로 비교하는 연구를 했었다. 수십억 개에 달하는 염기서열을 비교하면서 일치하는 부분을 찾고, 비슷한 정도를 수치화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그러다 우연히 디박이라는 프로그램을 만들게 됐다. 대략 10년 전쯤이다.Q 디박이 우리나라 최초의 표절 검사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07
- 비교했을 때 말이죠. 예를 들면, 인간 게놈의 염기서열이 밝혀진 후 생물학자들은 DNA 염기서열만으로는 어떤 기관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단지 어떤 코드가 어떤 유전자와 관련 있는지 알아낼 뿐이죠. 이제는 ‘유전자의 기능은 무엇인가?’라는 더욱 어려운 질문에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06
- 크리스퍼는 단백질 보다 훨씬 작은 RNA가 그 역할을 한다. DNA 100개만 바꾸면 전혀 다른 서열 특이성을 가 지는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모든 생물의 유전체를 수정할 수 있게 된 인간크리스퍼의 발견은 유전자 수정 붐을 일으켰다. 가장 먼저 2013년 12월 동물 세포에서 유전자 수정이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05
-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새들은 진화과정에서 옵신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아미노산 서열 변화가 일어났다. 논문을 발표한 연구진은 시각의 진화가 새들이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이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조류의 진화 역사를 보면 시각이 뛰어난 개체가 자연 선택되는 경향이 포유류에서보다 ...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과학동아 l201505
- 중국, 덴마크 등 20개국 국제공동연구진은 현대 조류를 대표하는 48종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방대한 진화계통도를 다시 썼다.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로는 가장 큰 규모이며 기간은 총 4년이 걸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새는 왜 강한가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05
- 유전 정보가 담긴 빅데이터에서 얻는다.30억 개의 DNA 염기로 이뤄져 있는 유전체 염기서열을 정확히 분석하려면 생명정보 분석 소프트웨어(SW)가 필요하다. 유전자 비교·검색에 널리 쓰이는 SW는 ‘BLAST’다. 유전체 분석에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와 하버드대의 ‘GATK’가 대표적이다. 대부분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