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대방
맞은편짝
상대자
d라이브러리
"
상대편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를 떼어내 서로 바꿔치기했다. 그 뒤 11일이 지나 형태를 갖춘 태아를 조사한 결과 각자
상대편
의 부리 모양으로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처럼 전혀 다른 형태의 부리가 만들어지는데 공통의 유전자들이 관여한다는 점. 다만 개별 유전자가 발현하는 시점이 달라 메추라기의 경우 ... ...
돌아온 로보트 태권V(브이)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구하는 필살기-레이저빔태권V의 강력한 무기인 레이저는 빛을 모아 쪼이는 것이다.
상대편
로봇을 녹이거나 폭파시키려면 최소 100MW 이상의 출력을 내야 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순간 발전량의 10분 1정도다. 또한 같은 발전량이라면 나아가는 면적이 좁을수록 더욱 강도가 세기 때문에, 가슴보다는 눈,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회말. 2사 3루. 동점. 굳어진 어깨를 흔들며 침을 꼴깍 삼켰다.
상대편
투수의 눈이 날카롭게 빛났다. 준호가 홈쪽으로 슬금슬금 움직인다. 공이 굴러왔다. 직구다.“뻥.”한가운데를 제대로 맞췄는지 발에 짜릿한 충격이 전해 왔다.“뛰어! 뛰어!”내가 1루로 달리는 동안 준호는 홈으로 돌진해 ... ...
어과동과 함께하는 월드컵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확률이 무척 높다.9. 스로인 공이 터치라인 밖으로 나가면 마지막으로 공에 닿은 선수의
상대편
이 공격하기 위해 그 지점에서 경기장 안으로 공을 던지되 머리 위로 던져야 한다.10. 코너킥 수비하는 팀이 골라인 밖으로 공을 차 냈을 때 공격하는 팀이 끝줄 모서리에 공을 놓고 차는 것이다. 골문 ... ...
대~한민국! 2006 동물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멋지게 골을 성공 시키는군요. 말하는 순간 진돗개 선수가
상대편
선수를 끈질기게 쫓아 공을 뺏습니다. 타조 선수에게 패스!그대로 긴 다리로 슛~, 또 다시 골이 터집니다! 상대방 선수들두골을 만회하기 위해 더욱 열심히 달리는데요. 어느새 골대 앞까지 공을 몰아 왔습니다. ... ...
세레스, 카론, 제나 추가돼 12개로 늘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부합하기 때문이다.명왕성의 위성으로 생각해왔던 카론(Charon)은 카론과 명왕성이 서로
상대편
을 공전하는 ‘이중 행성’(double planet)으로 분류되면서 행성으로 인정받는 ‘행운’을 거머쥐었다. 지름도 약 1200km여서 새로운 행성 정의에 맞아 떨어진다. 명왕성도 기존의 행성 지위를 계속 유지하게 ... ...
월드컵 8강서 브라질과 승부차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모형을 만들기 위해 한국팀 경기에서 어떤 선수가 얼마나 뛰었는지까지 알아보고
상대편
선수도 조사하고 있다. 한국팀이 예측결과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우리 모두 대~한민국을 더 크게 외쳐야 하지 않을까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촉감이나 느낌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이 재킷을 입고 움직이면 동작 정보가 무선으로
상대편
재킷에 전송된다. 수신된 신호는 자켓 안에 있는 작은 모터를 작동시켜 움직인 부위와 같은 부분에 자극을 준다.댄스 강사가 이 옷을 입고 춤을 추면 입체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헤드셋과 햅틱스 재킷을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프랑스 혁명 당시 귀족들은 민중들을 박테리아로 부르기도 했으며, 수많은 전쟁에서
상대편
은 박멸해야 할 박테리아로 지목됐다. 미생물이 덮어쓴 ‘박멸의 대상’이라는 오해는 미생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방해해왔다. 미생물이 다른 생물들의 생명활동과 진화에 도움을 주고, 미생물을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그러나 지금의 광통신은 엄밀히 말해서 빛으로만 이뤄지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광신호가
상대편
에 전달되기까지 여러 차례 전기적 신호로의 변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먼저 광신호가 광섬유를 통해 전송될 때가 그렇다. 광신호는 광케이블 속을 진행해나가면서 세기가 점차 약해진다. 때문에 중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