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자"(으)로 총 1,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집중하지 못하는 나 내 책임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디지털 알렉산드로스를 올려다보며 “나의 빛을 가리지 말라”고 외쳐야 한다고. 여자와 남자는 다르다. 그런데 성별의 차이가 유전(생물)과 문화(환경) 중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지는 오랜 논쟁이었다. 세계적인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은 어설픈 생물학이 만든 잘못된 통념을 비판한다.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11. 삼각형의 내심이냐 외심이냐, 어떤 이등분선인지가 문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비용을 최소로 하는 물류 창고의 위치 정하기, 지진의 발생 지점 찾기 등 우리 생활의 중요한 순간에 ‘삼각형의 외심 또는 내심’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려요. 이를 찾기 위해서는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내심과 외심,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봐요. 중학교 ...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추격대를 피해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주는 대신 문제를 해결해달라 하는데…. “이봐, 혹시 떠돌아다니는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를 보았나?”“아니요. 아이들은 보지 못했지만, 저희 막사 뒤쪽에서 누군가 야영한 흔적은 봤습죠. 저쪽으로 이어지던데요.”문제를 해결해 준 보답으로 가족은 티티르와 소녀를 천막 안의 살림살이 ... ...
- [특집] 체스 천재님, 비결을 알려주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체스의 매력은 무엇인가요?‘퀸’이 가장 강력한 기물이라는 점이 여자 선수인 제게 특히 매력적으로 느껴졌어요. 스스로 ‘체스계의 퀸이 되겠다’고 늘 다짐하지요. 또, 체스에는 가장 약한 기물로 불리는 ‘폰’이 상대 진영 맨 끝에 도착하면 다른 기물로 바뀌는 특별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10. 골라 푸는 재미가 있다! 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우주선의 초기 속력 계산, 망원경 렌즈 설계 등 이차방정식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는 많이 있어요. 문제 속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문제의 뜻을 잘 이해하고 구하고자 하는 값을 미지수로 정한 뒤 해를 구하면 되는데요. 해를 구하는 방법이 여러 개라 골라 푸는 즐거움이 있답니다. 중 ... ...
- [기획] 셰프의 손맛을 그대로~ 인공지능으로 요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모습을 전망했습니다. ●인터뷰이기원(서울대학교 푸드테크학과 교수), 이진규(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슈팹(주) 대표)“푸드테크는 우리가 식품을 소비하는 모든 과정에 있습니다” Q푸드테크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이기원 음식이 식탁에 오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수학이 발전하도록 돕는 수학자 단체)에서 첫 여성 회장이 나왔습니다. 바로 이향숙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님이었어요. 2014년 이 교수님이 조직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을 맡았던 서울 ICM이 성공적으로 치러지면서 당시 수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매우 높았는데요. 이를 발판 삼아 수학계를 더 ... ...
- [기획] 음식은 과학! 미래의 식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100점 만점에 100점! 인공지능 셰프가 완벽한 레시피와 로봇 팔로 안전하게 조리한 요리가 완성되었습니다. 맛도 좋지만, 음식을 먹는 사람의 건강 정보와 취향을 파악해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요리지요. 식품 산업이 로봇과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과 만난 ‘푸드테크’ 덕분입니다. ... ...
- [기획] 내 맘대로 만들어 먹는다 3D 식품 프린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있도록 15년 이상 상하지 않고 장기 보관이 가능한 새로운 우주식량이 필요했거든요.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이진규 교수는 “단백질이나 녹말 등 음식 재료를 가루로 만들면 오래 보관하거나 옮길 때 매우 편리하며, 이를 프린트해 음식으로 만들면 처리해야 할 음식물 쓰레기가 생기지 ... ...
- [현장취재] 올해로 10살!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만날 수 있어 기대가 남달라요!”10년째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을 맡고 계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 역시 대원들과 함께할 현장 탐사에 대한 기대가 컸어요. 2부에서는 지구의 날을 맞아 대원들이 사전에 올려준 ‘지구의 날 4행시’가 공개되었습니다. 이어서 실시간으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