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풀밭
목초지
스텝
황야
잔디
잔디밭
목포지
d라이브러리
"
초원
"(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달려드는 식으로 사냥했다고 설명했어요. 하지만 기후가 건조해지고 숲이 사라져
초원
으로 변하면서 개는 먹잇감이 지칠 때까지 쫓아가는 사냥을 했다는 것이지요.연구팀은 고양이는 기후 변화와 상관없이 지금처럼 날렵한 사냥방법을 고수해 왔다면서 개와 고양이가 어떤 차이로 다르게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사막이나 빽빽한 열대 정글에 적응하지 않았다. 사자의 형태와 습성은 탁 트인 아프리카
초원
에 딱 들어맞는다. 요약하자.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는 꼭 누군가 의도적으로 설계한 것처럼 보이는 생물학적 적응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잘 설명해준다. 다윈과 멘델의 의기투합주위를 둘러보라. 확실히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도구를 만들어 사냥을 하기 시작했어요. 쨍쨍 내리쬐는 적도의 햇볕을 온몸으로 받고
초원
을 뛰어다니며 먹잇감을 사냥해야 했지요.이때 털은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줬어요. 하지만 몸에 땀이 나면 피부를 덮고 있는 털은 땀이 증발하는 데 방해가 됐지요. 땀은 증발하면서 몸을 열을 빼앗아가 ... ...
고라니 vs 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노루노루도 사슴과에 속하는 동물로, 주로 중앙아시아와 유럽의 숲이나 풀이 많은
초원
지대에서 살고 있어요. 키가 큰 풀이 많아 숨을 곳이 많으면서 햇빛이 들지 않는 어두운 지역을 좋아하거든요.풀을 좋아하는 노루는 봄부터 가을까지는 산 중턱쯤에 살며 풀을 먹고 살아요. 이때 무려 600종 ... ...
순간포착 세렝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분류하는 데 참여했답니다.움직이면 찍힌다! 세렝게티 자동 카메라2010년 세렝게티
초원
엔 230대의 카메라가 설치됐어요. 한 동물이 살아가는 곳에서 최소 한 번 정도는 찍힐 수 있도록 5km 간격으로 설치됐죠.세렝게티에 사는 동물들은 셀카를 찍을 때 카메라 셔터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어요. 카메라 ... ...
치타 VS 표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지역에 주로 살죠. 하지만 치타는 표범과 달리 평평하고 넓은 반사막 지역이나 대
초원
을 좋아한답니다.치타와 표범이 헷갈릴 땐 무늬와 얼굴을 비교해 보세요. 치타의 몸에는 지름이 2~3cm 정도 되는 까만 점이 있거든요. 또 눈 안쪽에서부터 턱까지 눈물자국처럼 보이는 검정색 줄무늬가 있는 것도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타인에게 강요하는 것도 좋은 조언이 아니다.상어가 물고기를 잘 사냥한다고 해서
초원
의 사자에게 사냥법을 가르친다면 얼마나 우스운 일이겠는가. 사람마다 성향과 환경이 천차만별이므로 그 사람에맞는 맞춤형 조언이 필요하다.경험이 많다고 좋은 조언을 해주는 것도 아니다. 미국 미시간대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무성하게 자라 있는 풀을 뜯어먹기 때문에 입체시가 뛰어날 필요는 없다. 차라리
초원
이 얼마나 넓은지, 저 멀리서 천적이 다가오고 있지는 않는지 살피는 일이 훨씬 중요하다. 그래서인지 초식동물은 눈이 양 옆에 달려 있다. 입체시는 떨어지지만 양쪽 눈이 각각 볼 수 있는 단안시가 뛰어나다.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수밖에 없었어요.이후 지구의 기후가 건조해져서 숲이 없어지자,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초원
으로 나와 동물을 먹는 인류로 바뀌어요. 이들이 바로 호모 하빌리스예요. 호모 하빌리스는 여전히 긴 팔과 돌출된 얼굴을 갖고 있어 아직은 유인원에 가까운 모습이에요. 하지만 돌망치와 돌칼을 만들어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큰 하늘소가 살고 있다. 하지만 아름다운 꽃에 모여드는 꽃하늘소, 잎에 서식하는 남색
초원
하늘소 등의 작은 하늘소도 살고 있다. 나무에 사는 덩치 큰 하늘소에 대한 관심을 시작으로 다양한 모습과 생활을 하는 하늘소를 바라본다면 신기한 하늘소의 다채로운 삶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발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