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d라이브러리
"
해부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휴먼 커넥톰 프로젝트’ 시작뇌 활동의 비밀을 밝혀내기 위해 과학자들은 뇌세포들이
해부
학적으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 뇌세포들이 모두 연결된 완벽한 ‘뇌 지도’를 만들 수 있다면 뇌의 작동 과정도 알아낼 수 있지 않을까. 대표적인 사례가 2009년 미국의 주도로 시작된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죽은 뇌세포 내부를 순환했다. 그 결과 뇌세포의 파괴 속도가 현저히 줄었다. 뇌의
해부
학적인 형태와 세포 구조도 생전과 유사하게 유지됐다. 뇌의 모세혈관도 제 모습을 되찾았고, 면역세포인 글리아 세포도 본래의 면역 기능을 회복했다. 무엇보다도 우측 뇌의 중심에 위치한 신경세포 사이의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조언도 들었다. 400개 근육 중 가장 중요한 8개 근육
해부
학적으로 본인에게 적합한 랩 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발성역학적다차원측정법’이라는 더욱 정교한 검사를 받을 수도 있다. 예송이비인후과는 2005년 신체 근육 측정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 ...
과학은 실험이다_ 김정민 교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심장을 보고 당황하는 것도 잠시, 이내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가위와 메스를 들고 심장을
해부
하기 시작했다. 거침없이 심장을 잘라나가는 학생들의 눈빛은 호기심으로 반짝였다.첫날부터 학생들을 위해 과학의 ‘손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수업을 준비한, 심장을 거침없이 가르며 목청을 ...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휘어있어 나무를 타기 좋은 신체 구조를 가졌다.윌리엄 정거스 미국 스토니브룩대
해부
학 명예교수는 “호모 루조넨시스의 발견은 인류의 진화가 알려진 것보다 더 복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067- ... ...
[서거 500년] 프로N잡러 레오나르도 다빈치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2019년 5월 2일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세상을 떠난 지 500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다빈치 하면 모나리자 그림을 그린 화가, 비행기를 설계한 발명가…. 등이 떠오르죠?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탓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모습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수학자 다빈치입니다.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며 ... ...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뼈 속에서 새로운 종류의 미세혈관이 발견됐다.
해부
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마티아스 군제르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의대 교수팀은 쥐의 다리뼈에서 미세혈관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 ...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무성하고 축축한 수풀에서는 걷거나 기는 것보다 지면을 박차고 뛰어오르는 것이 이동하기 수월하다.초원지대에서 생활하는 캥거루, 왈라비 등 유대류가 두 발로 뛰어오르는 능력을 갖게 된 이유다. 하지만 이들이 언제 이 같은 능력을 처음 획득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최근 스웨덴자연사박물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양 똥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연구팀은 우리가 어떻게 네모난 똥을 만드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고를 당한 웜뱃의 장을
해부
했어. 그 결과 웜뱃의 장은 딱딱하고 움푹 파인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이 반복된단 사실을 알아냈지. 연구팀은 장의 딱딱한 부분에서는 똥의 평평한 면이 만들어지고, 부드러운 부분에서는 모서리가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같은 만화입니다. Q 만화와 곤충 공부를 동시에 하는 게 어렵진 않나요? 아주대학교
해부
학과 교수면서 만화를 그리는 정민석 선생님이 한 농담 중에 좋았던 게 있어요. 학술지의 표지 논문을 12번이나 했는데, 그 이유가 그림을 잘 그려서 논문 표지가 예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제가 볼 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