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부"(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뼈에 남아있는 흔적이 있는지, 그리고 혹시라도 소실된 뼈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모든 뼈를 맞췄다. 뼈는 자극이나 손상을 받으면 스스로 재건되는, 살아있는 결합조직이다. 법의학적 측면에서는 사망 후 가장 마지막까지 유전자 검사를 할 수 있는, 신원 확인에 중요한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발전할지 3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 미국 엔비디아에서 제작한 게임용 태블릿PC의 해부도. 작은 시스템반도체 칩(테그라 K1)이 태블릿의 두뇌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비롯한 대다수의 전자기기에는 반도체 집적회로(IC·Integrated Circuit)라고 하는 칩이 하나 이상 들어간다. 칩 안에는 ...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조언도 들었다. 400개 근육 중 가장 중요한 8개 근육해부학적으로 본인에게 적합한 랩 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발성역학적다차원측정법’이라는 더욱 정교한 검사를 받을 수도 있다. 예송이비인후과는 2005년 신체 근육 측정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 ...
- [서거 500년] 프로N잡러 레오나르도 다빈치수학동아 l2019년 05호
- 2019년 5월 2일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세상을 떠난 지 500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다빈치 하면 모나리자 그림을 그린 화가, 비행기를 설계한 발명가…. 등이 떠오르죠?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탓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모습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수학자 다빈치입니다.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며 ... ...
- 과학은 실험이다_ 김정민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심장을 보고 당황하는 것도 잠시, 이내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가위와 메스를 들고 심장을 해부하기 시작했다. 거침없이 심장을 잘라나가는 학생들의 눈빛은 호기심으로 반짝였다.첫날부터 학생들을 위해 과학의 ‘손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수업을 준비한, 심장을 거침없이 가르며 목청을 ... ...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휘어있어 나무를 타기 좋은 신체 구조를 가졌다.윌리엄 정거스 미국 스토니브룩대 해부학 명예교수는 “호모 루조넨시스의 발견은 인류의 진화가 알려진 것보다 더 복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067- ... ...
-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무성하고 축축한 수풀에서는 걷거나 기는 것보다 지면을 박차고 뛰어오르는 것이 이동하기 수월하다.초원지대에서 생활하는 캥거루, 왈라비 등 유대류가 두 발로 뛰어오르는 능력을 갖게 된 이유다. 하지만 이들이 언제 이 같은 능력을 처음 획득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최근 스웨덴자연사박물 ... ...
-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뼈 속에서 새로운 종류의 미세혈관이 발견됐다. 해부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마티아스 군제르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의대 교수팀은 쥐의 다리뼈에서 미세혈관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양 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연구팀은 우리가 어떻게 네모난 똥을 만드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고를 당한 웜뱃의 장을 해부했어. 그 결과 웜뱃의 장은 딱딱하고 움푹 파인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이 반복된단 사실을 알아냈지. 연구팀은 장의 딱딱한 부분에서는 똥의 평평한 면이 만들어지고, 부드러운 부분에서는 모서리가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같은 만화입니다. Q 만화와 곤충 공부를 동시에 하는 게 어렵진 않나요? 아주대학교 해부학과 교수면서 만화를 그리는 정민석 선생님이 한 농담 중에 좋았던 게 있어요. 학술지의 표지 논문을 12번이나 했는데, 그 이유가 그림을 잘 그려서 논문 표지가 예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제가 볼 땐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