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여기서 두 마리를 만들 수 있는 경우는 {A, B}, {B, C}, {A, C} 세 가지다. 두 개가 동시에 1이나 0이 돼 공통점이 있는 경우를 표시하면 위의 표와 같고, 새끼 오리만 있는 {A, B}에 표시한 개수를 세어보니 총 4번이다. 문제는 다른 경우와 구별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새끼 백조가 섞여 있는 다른 두 집합도 ...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점(털의 길이가 0인 점)을 모두 찾아 그 점의 지수를 더하면 0이 된다. 반면 지수의 총합이 0이 아니면 가마가 적어도 1개는 있는 벡터장이다. 하지만 고양이의 털을 깎거나 빗질을 새로 할 때마다 표면의 벡터장은 요동쳐 그때마다 지수를 찾아 더할 수는 없다. 푸앵카레는 이발을 하든 빗질을 하든 ... ...
-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했습니다. 세계 물자 이동량의 5% 정도를 담당하는 파나마 운하에는 170개국의 1920개 항구를 잇는 항로가 있어요. 따라서 이번처럼 기후위기로 운하에 이상이 생기면 그 피해가 전 세계로 확산됩니다. 파나마 운하를 통해 미국과 무역을 하는 해운 업체 HMM의 노지환 홍보부장은 “파나마 운하가 ... ...
- [가상 인터뷰] 물곰 족보에 등장~. 그린란드에서 신종 물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살던 물곰의 흔적도 있어? 현재까지 발견된 완보동물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9200만 년 전 화석이야. 김지훈 연구원은 “부족한 퍼즐 조각으로 과거의 모습을 되살리는 것이 고생물학의 매력”이라며 “앞으로도 완보동물의 진화 비밀을 더 밝혀내겠다”고 전했단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슈퍼컴퓨터, 바이오매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주인은 식물인 셈이지요. 와이즈만 과학연구소에 따르면, 인간의 바이오매스는 6000만 t으로 모든 생명체의 0.01%뿐이었어요. 하지만 인간이 살기 위해 땅을 일구고, 야생동물을 사냥해 먹을 것을 마련하면서 지구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은 점점 커졌습니다. 지상의 모든 포유동물 중 인간은 36%, 닭이나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길을 걷다가 로봇과 마주치면 어떤 기분일까요. 지능형로봇법 개정안이 2023년 11월 17일 시행되면서 한국에서도 ‘실외 이동로봇’을 활용해 물건을 배달하고 거리를 순찰하는 일이 가 ... 로봇을 개발한 로보티즈와 함께 시험해 봤습니다. ☞바로가기 https://youtu.be/83T5H_7ffgQ?si=yd0joXXn-QQ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C는 13g이나 자연계에서 이 두 동위원소의 비율이 98.9%, 1.1%이기에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12.011u가 됩니다. 더 복잡한 물 분자(H2O)는 2개의 수소와 1개의 산소로 이뤄져 평균 질량이 18.016u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수소의 동위원소(1H, 2H)와 산소의 동위원소(16O, 17O, 18O)가 짝을 이뤄, 1 ...
- [가상인터뷰] 공룡, 미세먼지 때문에 멸종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당시 지진파로 퇴적물이 쌓인 곳이야. 샘플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지름이 약 0.8~8.0μm(마이크로미터)인 미세한 규산염 먼지 입자가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 연구팀은 이 미세먼지가 지구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컴퓨터 모의 실험을 진행했지. Q. 결과는 ... ...
- [노벨 물리학상] 전자까지 순간 포착! 아토 과학 시대를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더 정확히 알 수 있는 도구를 얻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아토초 다음은 그보다 1000배나 짧은 젭토초”라며 “단위의 벽을 허물 때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하고, 인류의 시야도 넓어질 것”이라고 덧붙였어요 ... ...
- 반짝반짝 다이아몬드, 환경 파괴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팔지 않겠다고 나선 거예요. 그러면 다이아몬드를 더 이상 볼 수 없을까요? 과학자들은 1950년대부터 인공적으로 다이아몬드를 만들 방안을 고심해 왔습니다. 바로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로, 연구실(랩)에서 성장시켰다(그로운)는 뜻이지요.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KDT 다이아몬드의 강성혁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