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뉴스
"
밀
"(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경기과학고 3인방이 말하는 '수학을 잘한다'의 의미
수학동아
l
2023.08.19
법을 알게 돼서 제게 큰 도움이 됐어요." ※관련기사 수학동아 8월호, [수학 상위 1% 비
밀
무기] 경기과학고 수학 절친 3인방, 수학을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 ... ...
내년 ‘인류세’ 선언 예정... “1950년부터 인류가 자연 압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8.18
공동으로 주관할 예정이다. 인류세에 대한 국내 자체 연구도 진행 중이다. 한강에서
밀
려온 퇴적들이 쌓여있는 강화도 조간대와 중국으로부터 산업 오염 물질이 흘러 들어오는 이어도에서 인류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이어도 해역 1차 조사에서는 높은 수은 함량이 측정됐다. IGC ... ...
인간 성격 모방한 AI, 심리 실험에서 인간 대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7
수 있다. 실제로 미국 올린공대의 한 대학원생이 AI로
밀
그램 실험을 재현하자 실제
밀
그램 실험 결과와 달리 AI는 강한 전기 자극을 가하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향후 AI가 인간의 비도덕적인 행동까지 재현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인간 간 상호작용 ... ...
세 쌍둥이 태아별에 영양분 주는 '탯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4
이정은 물리‧천문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아타카마 대형
밀
리미터/서브
밀
리미터 간섭계(ALMA)를 사용해 다중 원시항성계 ‘IRAS 04239+2436’ 태아별들 주위에 세 개의 큰 나선 팔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ALMA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건설해 운영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전파간섭계다. ... ...
청국장 속 미생물, 혐기성 플라스틱 분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한국 전통 발효음식인 청국장에서 분리된 아
밀
로리쿼페시엔스SCGB1 균주가 폴리스타이렌 계열의 플라스틱을 산소조건에서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폴리스타이렌이 가지는 구조적 안정성 때문에 이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은 매우 ... ...
“곤충 단백질, 체중조절에 유리…나쁜 콜레스테롤도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3.07.27
낮추는 효과도 확인했다. 동맥경화 예방효과가 있어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고
밀
도 콜레스테롤(HDL) 대비 LDL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곤충 단백질에 함유된 키틴이 나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효과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곤충의 ... ...
5천광년 밖 목성급 행성 탄생현장 포착…"먼지 덩어리 형성 중"
연합뉴스
l
2023.07.26
형태로 뻗어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아타카마 대형
밀
리미터/서브
밀
리미터 집합체'(ALMA)에 포착된 파란색 영역은 '중력 불안정'으로 알려진 과정을 통해 수축 및 붕괴해 목성급 행성을 형성할 수 있는 큰 먼지 덩어리이다.[ESO/ALMA(ESO/NAOJ/NRAO)/Weber et al.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V76 ... ...
"뉴턴역학 위배한 '장주기 쌍성 궤도운동' 관측"…기존 우주론 뒤집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7.25
채 교수의) 장주기 쌍성 연구와 산개성단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력이 뉴턴의 이론이 아닌
밀
그롬의 이론과 일치함을 보여준다"며 "이 연구 결과가 천체물리학 전반에 주는 파급효과는 실로 방대하다"라고 말했다. 채 교수는 "앞으로 장주기 쌍성과 다른 데이터를 통한 중력테스트를 계속할 것 ... ...
차세대 이차전지 '수계아연이온전지' 상용화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5
필수적인 후막 양극 제작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라고 설명하며 “에너지
밀
도를 더욱 높이는 기술 개발에 주력해 ESS용 수계아연이온전지 조기 상용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4월 국제학술지 '나노-마이크로 레터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희귀질환 환자 ‘맞춤형 치료’ 개발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4
지난 2019년 하버드대 의대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며 RNA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
밀
라센’이라는 희귀질환 환자 맞춤형 치료제를 개발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 실렸다. 이번 연구는 KAIST 조교수 부임 후 진행한 후속연구로 미국환자재단과 협업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