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성
연결 발음
신장성
이중성
전성
리에종
뉴스
"
연성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분자 전자현미경으로 장시간 관찰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1
좋은 방법을 찾기는 어려웠다. 스티브 그래닉(Steve Granick)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장(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팀은 중수(重水)를 이용해 생체분자의 움직임을 긴 시간 동안 관찰할 방법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중수(重水, 중수소 2개와 산소 1개가 결합한 물, ... ...
‘현미경의 난시’ 고쳤다… “모든 광학·전파 장비 설계 바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6.27
경험적으로만 현미경의 초점을 조절해 사용해 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산하 첨단
연성
물질연구단 ‘프랑소와 암블라흐 연구위원(UNIST 교수)’팀은 현미경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춰낼 수 있는 과학적 원리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광학 분야에 정보 개념을 도입했다. 현미경 ... ...
문어처럼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 전자피부로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이를 이용해 '소프트 로봇'을 만들었다고 29일 밝혔다. 소프트 로봇은 고무와 같은
연성
물질로 만들어져 마치 문어나 해파리처럼 각 부위가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을 말한다. 소프트 로봇은 동물의 움직임을 흉내낸 생체모사 로봇이나 의료용 로봇 등의 분야에서 각광 받을 것으로 보이지만, ... ...
[과학사진관] 대나무가 꺾이지 않은 것은 속이 비었고 마디가 있기 때문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a capillary: Topological defects in liquid crystals 작가 | 김성조 연구원 (sungjom@gmail.com) 소속 |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 작가의 말 좁은 공간에 갇힌 액정은 가장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려 고군분투한다. 에너지를 낮추려면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경계 조건들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경계 ... ...
생명 진화 비밀은 접히고 펴지는 단백질의 특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비밀을 푸는 단서가 될 과학적 원리를 과학자들이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 츠비 틀루스티 그룹리더(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팀은 미국 록펠러 대학, 스위스 제네바 대학과 공동으로 ‘단백질 기능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모형’을 완성했다고 29일 밝혔다. ... ...
[과학사진관] 폭포는 곧은 절벽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연성
물질이 응용되고 있다. (*출처: IBS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연성
재료. 화장품, 페인트, 요거트, 피, 젤리 - 사진 pixabay 제공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이제나를봐요 #사랑의묘약 #폭풍우치는밤 #눈속에흐르는강 #과거로부터온메시지 ... ...
[과학사진관] 먼지 하나에도 우주가 담겨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6
아직 풀리지 않은 흥미로운 특성들이 물리학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출처: IBS 첨단
연성
물질연구단) 손으로 잡은 모래가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을 느껴보자. 그것만으로도 그래눌라 역할을 관찰한 것이라 할 만하다.- 사진 GIB 제공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 ...
[과학사진관] 늙어가는 시간은 모든 것을 가르쳐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작품명 | 콜로이드의 뇌 작가 | 로유 동 연구위원(dry6211@gmail.com) 소속 |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 작가의 말 음파에 갇힌 콜로이드 입자의 군집은 초음파와 교류 전기장(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기장)이 동시에 가해질 때 급격히 팽창한다.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찌릿’ 열 쇼크로 탄생한 나노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18.03.31
동일한 양 만큼 합쳐져 있다. 이런 고엔트로피 합금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강도나
연성
이 높은 특성이 있지만, 탄성이 낮은 등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구조 재료 등의 활용보다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많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최근에는 초전도 특성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열탄소 ... ...
꿈의 반도체 물질? 그래핀으로 염색약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에는 스티브 그래닉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장(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팀이 액체 시료를 그래핀 그물에 가두는 기술을 활용해 유기 고분자의 움직임을 100초 정도 관찰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