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성
연결 발음
신장성
이중성
전성
리에종
뉴스
"
연성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를 모두 일로 변환! 효율 98% 정보 엔진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IBS)은 박혁규 첨단
연성
물질연구단 연구위원(현 UNIST 자연과학부 교수)이 이끄는 연구팀이 그간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효율 100%의 정보 엔진에 대한 이론을 제안하고 실제로 98.5%의 효율을 실제로 구현했다고 25일 밝혔다. 정보 엔진은 정보를 일로 전환하는 장치다. 정보 엔진은 약 150년 전에 ... ...
부부 머리 맞댄 '나노 입자 리모콘', 세계 최초로 미세 액체방울 원격조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리모콘처럼 이 입자를 조종할 수 있다. 양 지지에, 웨이 징징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
연성
물질연구단 연구위원팀은 계면활성제 성질을 갖는 나노 입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미세한 액체방울을 자유롭게 통제하는 데 성공해 그 결과를 11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계면활성제는 물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아가로스 젤을 얻었다. 연구자들은 이 기술이 식품이나 조직공학 등 다양한
연성
물질(soft material)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TIP 집에 에스프레소머신이 없는 필자는 드립커피로 레이어드 라테 만들기에 도전해봤는데 세 번 만에 ‘어설프게’ 성공했다. 진하게 내렸다고 해도 ... ...
금속이
연성
을 잃는 한계는 어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9
움직이면서 결합을 끈끈하게 이어주기 때문에 잘 부숴지지 않는 거지요. 연구팀은 이
연성
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알아보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원자 2억 6800만 개짜리 탄탈룸 고체를 수학적으로 계산했습니다. 탄탈룸의 자유 전자가 과연 얼마나 큰 힘까지 버티면서 결합이 끊어지지 않게 ...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3차원 구조를 재현할 수 있다. - 사이언스 제공 스티브 그래닉 기초과학연구원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장(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이 이끄는 연구팀은 액체 시료를 그래핀 그물에 가두는 기술을 활용하여 유기 고분자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데 성공해 재료분야 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9월 1 ... ...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
과학동아
l
2017.07.24
물로 중화한다”며 “만약 물과 반응해 유독한 증기를 생성하는 물질이라면, 흙이나 비가
연성
물질을 뿌려 덮는다”고 설명했다. 해군 인천해역방어사령부 제독차가 물을 뿌려 부두를 제독하고 있다. 물과 반응해 유독한 증기를 배출하는 물질의 경우엔 제독용 제제를 뿌리거나 건토를 뿌린다. - ... ...
헤어롤로 머리스타일 오래 유지시키는 법
과학동아
l
2017.04.19
머리카락을 구부리는 것입니다.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은 습도가 높아지면
연성
과 탄성이 커집니다. 머리를 감고 난 직후에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면 모발이 끊어지지 않고 늘어나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죠? 따라서 잘 변형되는 젖은 머리카락을 헤어롤에 감고 말리면 효과가 좋습니다. 이때 ... ...
[카드뉴스]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1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않습니다. 안전띠를 돌돌 말고 있는 지름 1cm의 가느다란 얼레(토션)는 비교적 약한
연성
쇠로 만들어 사고시 엄청난 충격량을 빨아들입니다. Q4. 안전띠의 성능은 어떻게 검사하나요? 전문가들은 다양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수집해 슬레드 시스템에서 안전띠의 성능을 검사합니다. 레일 위의 자동차에 ... ...
나노미터 급 초소형 균열 생성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7.01.18
재료가 물리적으로 수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 가량 늘어나다가 발생하는
연성
균열과 힘을 가한 즉시 발생하는 취성 균열로 나뉜다. 연구진은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2차원 이황화몰리브덴에 전자빔을 가하며 균열을 유도했다. 그 결과 이황화몰리브덴이 5nm(나노미터·1nm는 10억 ... ...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11.29
화재발생 가능성에 관한 연구(경북)’, ‘폴리우레아 수지 난연기준 개정을 위한 난
연성
실험 연구(경남)’, ‘발효열 자연발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제주)’, ‘시즈히터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창원)’ 등이 자웅을 겨뤘다. ● 매년 연구 논문 400편, “연구 보장, 지원 필요해” 전국 화재조사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