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쓰레기
나머지
앙금
부스러기
남은것
잔재
폐물
뉴스
"
찌꺼기
"(으)로 총 1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니멀리포트]버려진 웅담채취용 사육곰에게 해먹을 선물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23
과일이나 벌레, 어린 나뭇잎을 먹고 산다. 하지만 사육곰들은 주로 개 사료나 음식물
찌꺼기
등을 먹는다. 게다가 야생에서 곰은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를 찾으며 보내지만 사육곰은 하루에 한 번, 짧은 시간 안에 먹이활동이 끝나기 때문에 많은 시간 지루하게 보내야 한다. 곰 보금자리 ... ...
신고리2호기, 정기검사 마치고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제거 장비를 통해 발견한 110개 이물질이 모두 제거됐다. 이물질은 작은 선이나 금속
찌꺼기
등으로 최대 18㎜ 길이의 작은 이물질들이었다. 원자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구동장치 조작하는 계통인 제어봉제어계통 설비를 개선해 성능시험을 통해 정상 작동하는 것이 확인됐다. 원전에서 사고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시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갈색의 침전물을 발견했다. 그는 이게 유기물, 즉 단백질
찌꺼기
일지도 모른다고 추측하고 이를 입증하는 연구를 박사과정의 주제로 삼았다. 그 결과 공룡알뿐 아니라 다양한 화석에 단백질이 변형된 상태로 남아있음을 확인했다. 즉 생물이 죽은 뒤 단백질이 주변 ... ...
노벨상위원회 "화학상 수상자들, 전에 없던 신개념 배터리 만든 게 업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있었다. 어떻게 바꿀까를 해결한 게 요시노 아키라 교수다. 1980년대에 그는 석유의
찌꺼기
를 격렬하게 열분해시켜서 만든 석유코크스를 산화코발트나 이황화타이나늄 대신 썼다. 석유코크스도 리튬 이온이 자유롭게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층을 가지고 있다. 구디너프의 연구를 기초로 해 배터리의 ... ...
신고리 1호기, 정기검사 마치고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39개 이물질이 발견됐다. 이물질은 길이 4~27㎜에 무게는 0.001~1.134g 정도의 전기선이나
찌꺼기
등으로 모두 제거됐다. 원안위는 “출력상승시험 등 9개 후속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최종 확인하고 정기검사 합격통보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오염된 식물사료·강물로도 확산…해외사례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1957년 포르투갈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전파된 경로는 비행기 기내식에서 나온 음식
찌꺼기
가 사료로 쓰여서였다. 2007년 조지아에는 동아프리카 항구를 거쳐온 배에서 나온 돼지고기가 감염 경로였다. 남은 음식물을 사료로 먹이는 것은 외국에서 유입되는 경로일 뿐 아니라 퍼져나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포티에 배 한 척이 닻을 내렸다. 동아프리카의 여러 항구를 거쳐 온 이 배에서 나온 음식
찌꺼기
에 ASFV에 감염된 돼지고기가 들어있었고 그 결과 ASF가 발생했다. 안 그래도 방역 시스템이 허술한 데다 곳곳이 내전 지역이라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 게다가 이 지역과 동유럽의 숲에는 멧돼지가 많아 ... ...
툭 건드리면 보안용 화면으로...투명도 자유자재 '스마트윈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유지한다. 하지만 여기에 충격을 가하면 급격히 온도가 약 30도 정도까지 오르며 고체
찌꺼기
(염)가 생겨나고, 동시에 결정구조가 변하면서 불투명해진다. 반대로 염을 약 60도 이상까지 가열하면 다시 액체가 되면서 투명해진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외부 자외선이 높은 환경에서도 자유로이 투명 ... ...
폐원자로 속 위험한 내부
찌꺼기
살펴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정묵 책임연구원이 라만분광기를 이용해 산화물 샘플의 구조를 확인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일본 정부가 최근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방사성 누출 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이어 제2원자력발전소의 폐로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 ... ...
치매 유발하는 뇌
찌꺼기
배출경로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제공 국내 연구팀이 뇌 속
찌꺼기
의 배출 경로를 밝히는데 성공했다. 뇌 속
찌꺼기
는 뇌의 대사활동을 통해 생성되는 대사산물로 뇌에 축적될 경우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한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고규영 기초과학연구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