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향기
악취
방향
혹취
내음
향
냄새감각
스페셜
"
냄새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줌의 재발견
2020.08.25
진단하기 위해 소변 시료를 담을 플라스크를 갖고 다녔다고 한다. 소변의 색과 투명도,
냄새
, 맛, 거품 정도는 몸 상태를 반영하는 거울이었다. 서기 1세기에 활약한 의사 카파도키아의 아레테우스는 오줌의 맛이 달짝지근한 게 주요 특징인 대사질환에 ‘당뇨병(diabetes)’이라는 병명을 붙여주기도 ... ...
“日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코로나19 공기 감염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감소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에어로졸 형태의 작은 입자는 호흡할 때
냄새
를 맡을 수 있는 범위를 넘어 더 먼 거리에서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론도 존재한다. 조지 러더포드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UC샌프란시스코) 역학과 교수는 “대다수 전파는 비교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무레이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녹차를 마시는 게 입
냄새
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을까? 위키피디아 제공 사실 구강미생물은 본인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끊임없이 소화관으로 진출한다. 우리가 침이나 음식물을 삼킬 때 딸려 들어가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성인이 ... ...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모양을 만들기 쉽다”고 말했다. 황화물도 단점은 있다. 습기에 반응해 달걀 썩는
냄새
로 알려진 유해가스인 황화수소가 나온다. 이 센터장은 “미국에선 안전 문제에 매우 민감해 산화물 연구를 주로 하는 편”이라며 “하지만 미국에서도 최근 황화물 연구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전고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그러나 아직도 오존을 쏟아내는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인기는 여전하다. 오존의 비릿한
냄새
는 반드시 경계해야 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구리(銅)의 항균력을 인증해준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EPA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관리기준을 정해주는 기관이다. 소재의 항균력을 인증해주는 ... ...
"후각 이상, 코로나19 감염 3일 후 나타난다"
연합뉴스
l
2020.05.15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60%는 감염 3일 후
냄새
를 잘 못 맡거나 아주 못 맡는 증상이 나타나며 그 증상이 얼마나 심한가가 전체적인 중증도와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신시내티대학 의대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 전문의 아마드 세다가트 교수 연구팀이 6주 사이에 ... ...
전 세계 52개국 과학자 참여하는 코로나19 후각 연구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이 중 15.3%에 해당하는 488명이 후각을 잃었다고 답했다. WHO는 지난달 23일(현지시간) “
냄새
나 맛을 잃어버리는 것을 코로나19 증상으로 규정할 수 있는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주한미군은 코로나19 환자를 가려내기 위해 기지 입구에서 식초를 이용한 후각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코로나19와 후각 ... ...
10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금지' 찬반 논란
과학동아
l
2020.04.18
참여해본 적은 없습니다. 간혹 과학실험실 주변에서 토끼나 개구리 사체에서 풍기는
냄새
를 맡은 적은 있습니다. 그 형태를 스치듯 본 적도 있습니다. 그런 날은 온종일 수업에 집중이 안 되더라고요. 자꾸 죽은 동물이 생각나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동물실험은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 황화수소산 등 독성이 강한 산도 제조했다. 셸레는 자신이 다루던 화학물질을 모두
냄새
맡고 맛보던 습관이 있어서 그 때문에 일찍 사망한 것으로 (결혼한 이틀 뒤에) 추정된다. 셸레가 산소를 분리해 낸 것은 1771~1772년 무렵이다. 그러나 셸레는 산소를 새로운 기체라기보다 공기의 특정한 상태로 ... ...
[인간·공감·AI]①신종 감염병의 시대, AI가 데이터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그 가운데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의생명과학 분야다. 시약과 배양액
냄새
가 물씬 나는 실험실과 실험을 기다리는 동물을 돌보는 케이지, 흰 가운을 입고 장갑을 낀 연구원 등 전통적인 연구실이 아닌 곳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었다. 빅데이터인 생명정보를 이용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