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당화"(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色수다] (ep5) 성에 대한 이중 잣대2016.12.25
- 받아들여져 여성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남성들에 의해 좀 더 쉽게 받아들여지고 정당화되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고 보았다. 한계점 또한 많지만 분명 시사점이 많은 결과와 해석들이라는 생각이다. 우리 안의 성적 이중 잣대는 어떨까? ※ 참고문헌 Rudman et al., (2013). What motivates the sexual ... ...
- 성차별, 백인/남성이 지적하면 개선 효과 크다2016.07.26
- 기반해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거나 남성과 여성에게 서로 다른 처우가 어울린다고 정당화하는 개인 또는 조직의 태도, 믿음, 행동 등을 총칭한다(Swim & Hyers, 2009). 안타깝게도 한국은 각종 지표에서 성차별 정도가 심각하며 여성의 인권이 낮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 인권 수준이 ...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2016.07.05
- 마음의 평화를 얻으려 애쓰게 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실험을 통해 연구자들은 이런 체제 정당화가 ‘자국’의 부조리에 한해서 나타남을 확인했다. 사람들은 자신과 상관 없는 외국의 문제는 비교적 객관적으로 비판하면서, 그 문제가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제인 경우에는 별 문제가 아니라는 듯 ...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2016.06.28
-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글을 읽게 했다(통제 조건). 그리고 나서 설문을 통해 현 체제를 정당화하는 정도(우리 사회 시스템에는 별 문제가 없으며, 어려움을 겪는 것은 자기 탓이다), 미국 사회가 위협을 받는다고 느끼는 정도(기존의 미국인 다운 삶이 위협받고 있다), 백인 집단의 지위가 위기에 ...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2016.06.14
-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예컨대 자신과 다를 뿐 틀리지 않은 무엇에 대한 혐오를 정당화할 때 쓰일 경우, 이런 도덕의 탈을 쓴 혐오의 핑계들은 사회로 당당하게 터져 나오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곤 했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최근 실험사회심리학지(Journal of Experimental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2005년 디젤 승용차를 허용했다. 결국 세계 자동차 업계의 음모(또는 사기?)가 법으로 정당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호흡기질환으로 고생하게 됐다(물론 통계적인 얘기로 누가 희생양이 될지는 모른다). 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는 생태와 환경의 관점에서 악명 높은 법이었던 미국의 ... ...
- ‘나는 페미니스트다’ 선언이 성차별 대응에 도움된다2016.05.24
- 보지 않는다는 점이다. 어쨌든 노예는 주인인 나와는 다르며 같을 수 없다는 점을 정당화하며 ‘다른 대우’와 차별적 구조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B 역시 비교적 착한 노예주인이긴 하지만 여전히 노예를 통제하려 하는 주인으로서의 태도는 고스란히 갖고 있다. 차이는 차별의 형태 또는 방식이다. ...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2016.04.04
- 곡선에서 100% 정직성 곡선 사이에 분포했다. 반면 PRV지수가 높은 나라들은 대부분 정당화된 부정직성 곡선에 가까웠다. 나라의 정직성과 국민의 정직성이 대체로 같이 간다는 말이다. 게다가 실험 참가자들은 아직 본격적인 사회활동을 하기 전인 대학생들이다. 즉 세상에 부대끼면서 ‘좋은 게 ...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2016.03.29
- 우리는 그럴 ‘자격’이 있다며 각종 폭력, 심지어 무고한 대상에 대한 폭력까지도 전부 정당화하고 ‘거리낌 없이’ 행사하는 현상들이 나타난다고 한다(Noor et al., 2012). ● 강한 신념이 양날의 칼이 된다 어떤 무지막지한 행위가 실은 엄청나게 강한 도덕적 신념, 정의를 외치는 마음에서 ...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IBS l2014.10.08
- 한다는 논리를 펼쳤다. 골상학은 20세기 초까지 맹위를 떨치다 근거도 빈약하고 차별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발전하여 과학계에서 사장된다. 그러나 뇌의 부위별로 역할이 다르다는 이론은 후대의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이 피에르 폴 브로카다. 브로카는 운동성 ... ...
이전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