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명
합법화
스페셜
"
정당화
"(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대 편입 확대는 이공계 죽이기…화해·공존의 길 찾아야
2025.03.26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의대생·전공의를 과도하게 비난하고 악마화하는 일이
정당화
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의대생에게 자신의 독자적인 자유의사를 따르라는 지적이나 설득력 있는 대안도 내놓지 않고 1년 동안 '탕핑'(躺平)했을 뿐이라는 지적은 의대생의 자존심에 상처 내는 지극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로 이득 보는 사람 있다
2025.03.08
악의적인 거짓말을 퍼트리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과거 유럽 국가들은 식민지화를
정당화
하기 위해 원주민들은 식인을 일삼는 야만인들이라는 루머를 공공연히 퍼트렸다고 한다. 지금은 특히 어린 여성 연예인들을 향해 악성 루머를 퍼트리고 이를 수익화 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가짜 뉴스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전문가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 에스토니아를 핑계로 졸속으로 만든 AI 디지털 교과서를
정당화
하겠다는 교육부의 시도는 모욕적인 것이다. 실제로 에듀테크 기술이 획일적이고 비효율적인 '사람 교사'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것이라는 교육부의 착각을 바로잡아야 한다. 특히 “지식 교육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감과 책임감이 '도덕적 용기'를 높인다
2024.12.14
또한 불의에 맞설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해리란 흔히 도덕적
정당화
(예를 들어 "이 정도의 거짓말은 되려 유익할 수 있어"), 완곡어법 사용(예를 들어 훔치는 게 아니라 빌리는 거다), 피해 축소(예를 들어 별로 해롭지 않은 일), 책임 전가(예를 들어 착하게 살기에 각박한 세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지는 '가스라이팅'
2024.07.27
많은 가해자들이 자신이 정서적, 물리적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 다 상대방 탓인 것처럼
정당화
하고 피해자로 하여금 학대당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인 것처럼 생각하도록 만든다. 상대방을 모욕하고 수치스럽게 만드는 일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질투와 집착을 보이고 친구와 만나는 것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정원을 확대했던 것도 그런 경우였다. 그러나 과거의 불법을 핑계로 현재의 불법을
정당화
시킬 수는 없는 일이다. 과연 의료개혁을 위한 의대 입학정원의 2000명 증원까지 '대학 구조개혁'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법부의 분명한 유권해석을 받아볼 수 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한다. 뉴욕대의 심리학자 존 조스트(John Jost)는 이러한 피해자 비난하기에 “체제
정당화
(system justification)”기능이 존재한다고 본다. 피해자 개개인의 행실에 주목하며 얼마나 순수한 피해자인지 따지기 시작하는 순간 조직에 존재하는 문제점에서 시선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 폭력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것’이라며 떳떳한 태도로 피해자를 비난한다. 프로 급의 피해자 비난하기와 괴롭힘
정당화
하기를 통해 피해자가 도움을 요청하기도 어렵게 만든다. 여기에 권력관계까지 끌고 들어와서 괴롭힘을 당해도 손쉽게 대항하기 어려운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선별해서 뒤탈이 없을 것 같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여성이라면 엄마라면 당연히 희생해야 한다고 하는 등 각종 사회적 족쇄를 통해 착취를
정당화
해온 것은 아닐까. 결국 아무 것도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한 사회에서 착취의 세습을 거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많은 이들이 ‘나는 저렇게 살고 싶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동아줄도 사라질 수밖에 없다. 과연 평생교육 업무만으로 거대한 교육부의 존재 이유를
정당화
시킬 수 있을 것인지는 두고 볼 일이다.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교육부가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지게 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기대하듯이 ‘교육 서비스’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