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리말
우리글
한국문자
국어
한국어
flash
photoshop
스페셜
"
한글
"(으)로 총 9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아니라 ‘2142.48억 원’으로 쓰면 혼동의 염려 없이 한눈에 숫자를 읽을 수 있다. 실제로
한글
맞춤법을 찾아보면 제44항에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고 돼 있다. 예컨대 ‘이천백사십이억 사천팔백만 원’ 또는 ‘2142억 4800만 원’이라고 써야 우리 맞춤법에 맞다. 이렇게 쓰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대한 부분을 발췌해 2016년 ‘소로의 야생화 일기’라는 제목의 책으로 엮었고 2017년
한글
판이 나왔다. 7년 동안 야생화 개화일 기록 미국 보스턴대의 식물학자 리처드 프리맥 교수는 콩코드의 식물을 관찰해 얻은 데이터를 160년 전 소로의 데이터와 비교해 지구온난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⑤두 번째, 코딩 걸음마 떼기
2019.03.11
바꾸고 저장하는 방법을 알려줬다. 그리고, 저장한 코드를 불러오는 방법을 알려줬다.
한글
입력 타이핑이 더딘 듯하여 대신해주려 했으나, 아이는 자기가 직접 하겠단다. 그래. 맞다, 잊고 있었다. 백문이 불여일타(打)다. 도움자료 제가 작성한 2일차 교안 (초코잼 바르기 문제)을 공유합니다.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
2019.01.28
정책적으로 정규 교육 과정에 적극 활용될 것이라는 예상도 한몫했다. 토종 ‘아래
한글
’의 위세에 눌려 ‘MS 워드’ 따위는 관공서에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나라가 대한민국 아니던가. 결국 ‘엔트리’를 활용한 교재 가운데 글자가 가장 크고 그림이 가장 많은 것을 골랐다. 2학년 수준에 맞춘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내용은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참조). 올해 7월 ‘은여우 길들이기’란 제목으로
한글
판이 나왔다. 그런데 최근 은여우 길들이기 프로젝트와 관련한 게놈 및 유전자 발현 분석 논문 두 편이 발표됐다. 먼저 학술지 ‘네이처 생태학 및 진화’ 9월호에 실린 붉은여우의 게놈 해독과 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더 두껍다. 오른쪽은 올리버 색스가 자신의 책 가운데 가장 아꼈다는 ‘색맹의 섬’으로
한글
판으로 최근 개정판이 나왔다(사진은 2015년 나온 1판). - 강석기 제공 소철 섬 괌의 풍토병 얼마 전 신문 책소개란에서 지난 2015년 작고한 올리버 색스의 ‘색맹의 섬’ 개정판이 출간됐다는 단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의 인류학자 대니얼 리버먼 교수의 ‘우리 몸 연대기’
한글
판이 최근 출간됐다. 그는 책에서 현대인에 만연한 만성질환을 인류 진화의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사진 제공 교보문고 불일치 질환 만연 요즘은 인류학도 빅데이터 과학인 고게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든다. 이런 기분이 들 때 떠오르는 사람이 세종대왕이다. 비록 우리만 쓰고 있지만
한글
은 문자의 역사에서 기념비적인 업적이고 그밖에도 세종 시절 이룬 과학기술 업적이 눈부시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로 시작하는 ‘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면 가슴이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정도로 많은 저서가 남아 있다. 흥미롭게도 그 가운데 반 이상이 과학책이다. 그럼에도
한글
로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책은 없었다. 그런데 지난해 이 무렵 김진성이라는 철학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소론집’을 번역해 내놓았다. 역자 소개를 보니 ‘자연학’을 옮기고 있다고 한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
2016.01.05
연말마다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 ... 음악을 사랑했던 색스는 음악과 뇌를 주제로 책 ‘뮤지코필리아’를 썼다(2008년 출간). 2010년 나온
한글
판 표지. (제공 교보문고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