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토록 매혹적인 이유는 소수가 매혹적인 이유를 확실히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인 듯하다’고 밝힐 정도로 이 책은 무한한 공상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더 이상 쪼갤 수 없다고 믿었던 양성자와 중성자가 다시 산산이 분해되는 것을 보며 수학자들도 어쩌면 자극을 받지 않았을까 ... ...
- 가격 담합 잡는 벤포드 법칙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높이가 2로 2배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A라고 한다면, 높이가 2에서 3으로 1.5배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A보다 짧다. 마찬가지로 3에서 4로 1.33배 늘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더 짧다. 결과적으로 나무의 높이는 1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길고, 2에서 9로 갈수록 머무는 시간이 짧아진다. 이를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슬로싱 방지기술은 프랑스에서 특허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조선 회사들이 배를 만들 때 특허료를 많이 내야만 했습니다. 김용환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대형 슬로싱 실험 인프라를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이 외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줄이고 실험 비용도 3분의 1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리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특히 “조선해양공학은 국제 경제와 밀접하기 때문에 세계 경제를 바라볼 수 있는 소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지훈 군(단양 가곡중 3학년)은 “강의를 들으니 조선해양공학이 무엇인지 알게 됐고 흥미를 더 많이 갖게 됐다”고 말했다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완벽을 추구하면서 배우는 게 중요합니다. 우리가 하는 학문은 정답이 있는 학문이기 때문에 완벽을 추구하면 정답에 가까운 일들과 연구와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이공계는 정답이 있는 학문입니다. 정답이 있지만 정답에 얼마나 가까이 가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정답이 없는 데 시간을 너무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제가 첫 원장인데 사실 제 남편도 소장을 지냈어요. 그래도 가끔 집에서 모임이 있을 때 ‘나는 원장, 당신은 소장’이라고 확인해 주죠. 하하하.” 국과수를 이끌면서 참 많은 일이 있었다. 사건은 점점 많이 벌어졌고, 과학수사는 갈수록 중요해졌다. 중요한 사건마다 국과수의 역할도 점점 빛이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창업하는 것도 좋다”며 “연구원 생활과 창업을 경험해 봤으니까 다른 연구자가 창업할 때 실수하지 않도록 멘토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소 그는 책을 많이 읽는다. 2001년부터 ‘느낌표 - 책, 책, 책, 책을 읽읍시다!’란 TV프로그램에 소개된 책을 모두 읽으면서 책 읽는 재미에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형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첫째는 꿈, 둘째는 열정“저는 좋은 직장에 가지 못했기 때문에 창업하는 건 굉장히 위험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청소년에게 조언을 하자면, 직업은 자신이 꾸는 꿈을 열정을 갖고 실현시키는 것입니다. 직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너무 휘둘리지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학의 쓰임새’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막상 사회에 나와 맡겨진 업무를 처리할 때마다 사물을 관찰하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습관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렇게 밝힌 그는 “특히 요즘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시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학을 전공했다고 해서 인문학을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고 전망했다.“세상이 20년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몰라요. 대학생의 절반 정도는 대학교때 상상하지 못햇던 직업에서 일할 겁니다. 예전에 스마트폰이니 앱이니 하는 걸 상상이나 했나요? 지금의 직업에 얽매이면 안 돼요. 자기가 하고 싶은 걸 하는 게 가장 좋아요. 대학생도 전공 지식 자체보다는 ... ...
이전9019029039049059069079089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