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박쥐는 레이더 없이 날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초음파 발생 능력은 없었다고 ‘네이처’ 2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2003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발견된 고대 박쥐 ‘오니코닉테리스 피네이’(Onychonycteris finneyi)의 화석을 조사한 결과 날개는 있지만 초음파를 낼 수 있는 기관은 없었다.어둠 속에서 날아다니는 박쥐는 초음파를 쏴 물체를 ... ...
4. 여성 파워엘리트 인큐베이터 wise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HP 텔레멘토링 사례를 보고 온라인 멘토링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다. HP가
미국
뿐 아니라 싱가포르, 홍콩 등에 있는 직원을 멘토로 받아 전세계 학생들과 e메일을 주고받으며 진로를 상담하는 텔레멘토링을 1995년부터 진행해온 것처럼 WISE도 우리 여성과학자를 온라인상에서 전국의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했고, MIT와 스탠퍼드대를 비롯한 유수의 대학들이 이에 참여하기로 했다.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소비자가전전시회(CES)에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마이크로소프트 플랫폼이 클라우드 컴퓨팅 혁명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클라우드 컴퓨팅이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하면 되는데, 20%를 밑도는 휴대전화 재활용률을 끌어올리려는 목적이다. EPA에 따르면
미국
인 가정에서 잠자고 있는 고물 휴대전화는 1억 대가 넘고, 이를 재활용하면 1년간 19만 4000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정도의 에너지가 절약된다.컴퓨터는 구입한지 1년만 지나도 구식이 되고 휴대전화는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어떻게 몸을 통해 전기신호를 주고받을까.인체통신기술의 원리를 처음 생각해낸 사람은
미국
MIT 미디어랩의 토마스 짐머맨 박사다. 그는 1995년 인간의 몸을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원리와 방법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몸을 하나의 도선으로 여겨 몸에 미약한 전기신호를 흘려보낸 뒤 이를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하는 단백질의 일부(단백질상호작용 도메인)인 ‘사라’(SARAH)의 3차원구조를 밝혀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사라는 무도회에서 파트너를 바꿀 때 뻗는 팔에 해당한다. 세포사멸 촉진 단백질인 ‘Mst1’은 사라와 쌍으로 결합했다가 헤어진 뒤 팔(사라) 하나를 뻗어 사라와 비슷한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높은 전압을 가진 정전기를 만나면 어떻게 될까요? 맞아요. 불이 나게 된답니다.”
미국
에서는 정전기 때문에 한 해 동안 1000건이 넘는 화재 사고가 일어났고, 우리나라도 2006년에 일어난 주유소 화재 사건 가운데 40%가 정전기 때문에 일어난 거라고 한다. 닥터고글의 명쾌한 설명 앞에 꿀 먹은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한 포유동물인 ‘인도휴스’가 고래의 조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오하이오대학교의 한스 테비센 교수팀은 수백 마리의 인도휴스뼈화석을 찾아 분석했어요. 그 결과 두개골과 귀, 작은 어금니가 고래와 매우 비슷하다는 걸 알아 냈지요. 게다가 뼈의 구조와 이빨 성분은 하마처럼 ... ...
“파란색을 못 봐요~!” 딱정벌레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곳에서 살아가는 딱정벌레는 파란색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웨인주립대학교 연구팀은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는 습성이 있는 붉은 밀가루딱정벌레의 시각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다른 곤충들이 자외선을 포함해 파란색과 붉은색을 구별하는 데 비해, 이 딱정벌레는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양성자가 장 세포와 주변 근육 세포 사이에서 신경전달물질처럼 매개 역할을 한다고
미국
유타대 뇌과학연구소 에릭 조르젠슨 교수팀이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조르젠슨 교수팀은 기생충의 일종인 ‘예쁜꼬마선충’이 배설하는 도중 장 세포에서 주변 근육세포로 ... ...
이전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