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142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12
너무나 약해 검출하기 힘든 중력파. 세계의 천체물리학자들은 이를 검출하기 위해 쌍둥이 LIGO를 비롯 지구촌 곳곳에 중력파검출기를 건설하고 있다."중력파를 잡는데는 1등이 없다. 데이터가 정확한지는 다른 안테나에서 같은 시간의 것을 비교해 보아야 한다. 중력파를 누군가가 독점하려고 한다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12
왜 은하계의 많은 별들이 대체로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일까.메사추세츠 대학의
천문학자
카렌 스트롬과 그녀의 동료들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못한 오리온 성운의 남쪽자리를 조사한 적이 있다. 그곳에는 수백개의 새로운 별들이 작은 무리를 지어 있었다. 그 구역에 있는 한 성운에는 10개에서 50개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12
언급한 쌍성펄사다. 이는 우주에서 희귀한 존재로 전자파로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천문학자
가 작성한 카달로그에는 약 4백개의 중성자별이 기록돼 있지만 우리 은하 내에서 확인된 쌍둥이는 4개밖에 안된다. 천체물리 학자들은 이 4개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주 공간에서 매년 몇개의 쌍성펄사가 ... ...
슈메이커-레비혜성의 핵은 21개
과학동아
l
199312
공룡을 절멸시켰던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 당시와 거의 맞먹는 것으로 예상된다.
천문학자
들은 1천년 만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할 정도의 희귀한 현상이라는데 의견이 일치한다.지금까지 밝혀진 충돌 상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충돌할 당시의 속도는 시속 60㎞이며 목성과 혜성의 거리는 약 1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11
중요하게 쓰이는 NGC(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 목록은 1888년 영국의
천문학자
그레이어가 편집한 성운과 성단의 성표로, 천구 전체의 각종 성운과 성단 7천8백40개의 위치와 성상이 기재되어 있다. 우주공간에 떠있는 구름별과 별 사이의 넓은 공간에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311
테일러와 헐스쌍성펄사에서 발생하는 중력파 추적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미국의
천문학자
인 헐스(R.A. Hulse)와 테일러(J.H. Taylor)가 차지했다. 두 사람의 대표적인 논문 '쌍성계내의 펄사 발견'(Discovery of a Pulsar in a Binary System)은 지금으로부터 거의 20년전인 1975년 발표되었는데, 당시 헐스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11
별의 일생중에서 별나게 탄생한 중성자별. 에너지덩어리인 이 신비의 별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일까일본 사무라이들은 옥쇄전투를 앞두고 머리에 향수를 뿌린다한다. 잘린 목에서 피비린내가 덜 나게 하기 위함이다. 사후의 예법까지 이렇게 차려주는 장인정신(匠人精神)은 칭찬할만하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09
일반상대성이론은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를 설명하는데 결정적 틀을 제공했다. 이후에 등장한 모든 우주론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보충해주는 보조 이론에 불과하다.현대 우주론은 최근 20 -30년 사이에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는 과거 수백년 사이의 우주에 대한 개념의 발달과는 비교 ... ...
「광역 초팽창이론」확립한 천문대 라대일 박사
과학동아
l
199309
현대과학의 큰 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상대성이론. 이에 관해 국내 학자가 직접 저술한 책이 출간됐다. 책이름은 '쉽게 배우는 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과의 두뇌게임'. 그동안 국내에서는 상대성이론에 관한 많은 책들이 나왔으나 모두 번역본으로 우리나라 사람이 직접 저술한 책은 한권도 없었다. ... ...
안드로메다 은하계서 두개의 핵 발견
과학동아
l
199309
실은 그 두개가 모두 기다랗게 생긴 하나의 핵에 속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천문학자
들에 따르면 삼켜진 은하가설 역시 문제가 있다. 만일 어떤 은하계가 안드로메다와 충돌하여 삼켜졌다면 그 은하계는 매우 작아야만 한다. 그 충돌이 안드로메다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남겨놓지 않은 것처럼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