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142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겨울달이 여름달보다 길까
과학동아
l
199305
정확한 합삭 시각을 알아야 하는데 그게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달의 합삭 시각은
천문학자
들의 의해 정확히 계산될 수 있는 것이지, 일반인들이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이제 앞서 예를 든 음력 한달의 결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검토하도록 하자. 먼저 올해 음력 2월의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05
분출물에 기인한다.이 분출은 1918년 릭 천문대의 커티스가 찍은 사진에서 발견되었다.
천문학자
들은 강력한 에너지의 분출이 M87의 핵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믿고 있다. 많은 다른 활동적인 은하들의 핵으로부터도 이러한 현상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가정은 은하의 중심에 거대 ... ...
UFO
과학동아
l
199304
생명체가 존재하느냐는 문제와 직결돼 있다. 그러나 지구 밖 고등문명체에 대한 연구는
천문학자
들이 확률론으로 추적하고 있으며 전파망원경을 통한 전파추적 등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가 이 연구에 간여하기는 어렵다. 뾰족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확률로 따져서 우리 은하에만 지적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04
충분히 탐구하지 못한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태양계 너머에 있는 먼지가
천문학자
들을 성가시게 하는 것은 은하수에 포함된 먼지구름이 광학망원경의 시계를 희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파망원경은 그 먼지를 통과할 수 있다.먼지는 도움이 되기도 한다. 항성이 먼지구름을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04
큰 규모의 지출을 정당화하기에는 너무 위험하다고 말한다. 1991년 3월에 과학 재단의
천문학자
문위원회의 의장인 타이슨 박사는 하원의 토론회에서 LIGO 프로젝트를 전면적으로 실행에 옮기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이 열띤 논쟁은 1991년 의회가 LIGO 프로젝트를 위해 연구비용으로 ... ...
천문관측
과학동아
l
199304
망원경보다 좋은 성과를 얻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아마추어천문을
천문학자
들의 학문분야와는 별개의 또다른 전문영역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우리나라에는 수천명의 아마추어 천문인이 곳곳에서 동호회를 결성, 활동하고 있다. 초보자들은 가까운 천문동호회를 찾아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03
비하면 보잘 것이 없지요. 하지만 60cm 소백산 망원경에서 3배의 도약을 하는 셈이니
천문학자
들 모두 기대가 큽니다. 프랑스에서 제작 중인 주망원경이 올 8월말에 들어오면 10월 중에 세팅을 완료하고 망원경의 성능 조정시험을 1년 정도 거친 후에 94년 말부터는 공개할 예정입니다. 주망원경 이외에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03
것보다 더 나쁜 일이다"고 판단해 게재를 허락하였다.레버의 논문은 당대의 위대한
천문학자
오르트(Oort)에 의해 인정받게 되었으며, 오르트는 다시 헐스트(Hulst) 박사의 논문을 인용하여 파장 21cm의 중수소 원자 전파가 우리 은하에서 방출될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하였다. 그 예측은 하버드대학의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02
엄청난 에너지를 가진 입자들을 충돌시키는 가속기. 물질의 기본입자를 밝히는데 가속기는 절대적인 존재다.우주를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들은 어떤 원리에 의해 운동하는가? 이 의문은 문명이 시작된 이래로 인류가 끊임없이 품어온 질문이다. 안타깝게도 그것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02
플로지스톤설에 얽매여 있던 화학자들은 18세기말 라브와지에의 연소실험을 계기로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기 시작했다. 멘델레프의 주기율표가 등장하면서 급격하게 원소수가 늘어 현재의 1백3종이 자리를 잡았다.역학과 생물학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던 17세기. 화학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던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