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성
d라이브러리
"
깊은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지만 강한 이자율의 위력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겨우 0.25% 올린 것뿐인데 왜 그리 호들갑이었을까요? 이유는 이자율이 돈의 가치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준금리는 이자율을 움직이는 핵심 열쇠랍니다. 오늘은 채권과 이자율 그리고 기준금리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해요.돈의 시간가치90 × (1 + 0.1111…) = 100현재의 가격 × (1 +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문명의 불빛이 미치지 않는 곳,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오로지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지기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리는 천체관측자들의 모임인 야간비행(www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밀도가 낮은 물은 위로 올라온다. 덕분에 바깥과 맞닿아 산소를 많이 머금은 물이
깊은
곳까지 산소를 전달한다.중요한 것은 4℃ 아래로 온도가 더 떨어지면서부터다. 4℃ 이하로 떨어지면 표면의 물은 오히려 밀도가 떨어진다. 때문에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표면에 머물려고 한다. 그렇지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속 입자(particle in a box)는 양자역학에서 다뤄지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 입자가 무한히
깊은
포텐셜 우물에 갇혀 있어 나가지 못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입자가 벽과 충돌할 땐 에너지와 운동량이 모두 보존되는 완전 탄성 충돌이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고전역학적인 ... ...
타이탄의 호수 얕아졌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미터 정도는 쉽게 통과한다. 따라서 얕은 곳은 전파가 바닥에 반사돼 바닥을 볼 수 있고,
깊은
곳은 전파가 모두 흡수돼 검게 보인다”고 원리를 설명했다.카시니호의 레이더로 호수 경계 부분의 바닥을 관측한 결과 호수의 남쪽은 바닥의 경사가 완만하고, 북쪽은 매우 급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그 설명이 가능해질 것 같다. 호주의 생태학자들이 동성애는 새끼를 돌보는 태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저널 ‘동물행동’ 7월 5일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호주 뉴캐슬대의 죠프 맥팔랜드 교수팀은 동성애가 발견됐다고 기록된 새 93개 종을 관찰했다. 그 결과 육아에 투자하는 시간이 적은 개체일수록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7500~8000K의 색온도를 가장 많이 쓴다. 색온도가 1만K를 넘어가면 청색이 너무 두드러져
깊은
바다 속 느낌이 나기 때문이다.아름다운 풍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원칙에 따라 수초를 배치한다. 전경과 중경,배경으로 나눠 뒤로 갈수록 수초의 키가 커지도록 배치하는 게 일반적이다. 전경에는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만들어서 자비와 위엄이 석굴암 전체를 가득 채우도록 했지.불상이 바라보는 방향에도
깊은
의미가 담겨 있어. 불상은 동해를 바라보는데 정확한 동쪽이 아니라 남쪽으로 29.4° 치우쳐 있어. 삼국통일을 이룬 문무왕의 대왕암을 보고 있다는 설도 있지만 그보다 조금 더 남쪽을 향한다고 해. 이 ... ...
번호에 이렇게
깊은
뜻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똑똑한 버스번호 서울역에서 서울대학교를 가려고 750번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다. 750번은 오지 않고 751번, 752번만 지나간다. 끝자리 하나만 다른 버스에 괜히 심술이 난다. 한 정류장에는 왜 이렇게 비슷한 번호의 버스가 많은 걸까?이유는 서울의 똑똑한 버스번호 체계 때문이다. 서울시는 2004년 서 ... ...
도시의 아름다움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문화지구를 예로 들었다. 대학로에는 마로니에 공원이나 샘터 극장처럼 역사와 전통이
깊은
장소가 많은데, 이것들은 대부분 붉은 벽돌로 지어졌다. 이 때문에 대학로에 새로 지어지는 건물은 이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외벽의 재질이 벽돌로 제한돼 있다.“요즘은 건물뿐만 아니라 조각을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