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찌릿! 전기 자극으로 짠맛 내는 젓가락!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월 11일 일본 메이지대학교 과학기술학부 호메이 미야시타 교수팀은 맥주 회사 기린의 연구팀과 함께 짠맛을 내는 젓가락을 공개했습니다. 이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서 입에 넣으면, 젓가락과 연결된 작은 컴퓨터에서 젓가락으로 전류를 흘려보내요. 원래 혀의 미세포 미각수용체가 나트륨 ... ...
- [멍냥과학] 반려견의 풍부한 표정, 비결은 사람 닮은 얼굴 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소통하는 이유는 개의 얼굴 근육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4월 5일 미국 듀케인대학교 생물인류학과 앤 버로스 교수팀은 개의 얼굴 근육이 사람 얼굴 근육과 닮아 ‘속근’이 많다고 발표했습니다. 속근은 빠르게 수축해 특정 신체 부위를 신속하게 움직이는 근육이에요. 사람은 얼굴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애벌레가 쓰러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하는 균사. 균사가 하는 일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지난 4월, 영국 웨스트 오브 잉글랜드대학교의 앤드류 아다마츠키 교수는 버섯들이 땅속 균사를 통해 서로 복잡한 대화를 할지 모른다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버섯의 균사는 땅속에서 다른 균류는 물론, 공생하는 식물들과도 복잡하게 이어져 ... ...
- [기획] 세계가 나의 무대! 수학으로 승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너무 재밌었어요. 결국 학부 전공을 수학으로 정하면서 자연스럽게 수학자가 됐습니다. 대학원 시절, 지도 교수님께 저의 첫 연구 프로젝트 결과를 설명했을 때가 아직도 생생히 기억나요. 설명이 끝나자 교수님이 ‘명진, 드디어 다 해냈네!’라고 말해줬을 때가 제 인생에 가장 영화 같은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방정식을 이용했어요. 많은 수학자가 펠의 방정식에 도전한 이유에 대해 김도형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방정식의 모습은 매우 간단해 보이지만 풀기는 어렵다는 점이 수학자에게 매력적인 문제”라고 전했어요 ...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개의 d는 정수해를 가지고, 나머지 42개는 정수해를 가지지 않는다는 거지요. 진석호 중앙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없을 때 해답의 실마리에 다가가기 위해 빈도를 찾는 문제로 바꿔서 푼다”며, “이렇게 풀면 기존에 알지 못했던 수학적 발견을 할 때도 있다”고 이번 연구의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해적 유저 정복하기 2. 숨쉴 공간 마련! 물 쫙 빨아들이는 스펀지의 최소 개수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호흡 마법이 부여된 모자를 썼다고 무제한으로 바닷속을 탐험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바다 위로 올라와서 다시 숨쉰 뒤 탐험해야 하지요. 그래서 유적 가까운 곳에 숨쉴 수 있도록 바닷물이 없는 공간을 만들어야 해요. 물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게 벽으로 둘러 싸고 물을 빼야 ... ...
- [수학뉴스] 달걀 속 얇은 막, 주름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배 얇은 플라스틱을 구길 때 생기는 주름을 연구하던 엘레니 카티포리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이 만든 모의실험 프로그램으로 이 식의 정확도를 검증했어요. 그 결과 수학 모형과 모의실험의 결과가 거의 일치했습니다.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동물 몸속에 있는 얇은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김다인입니다. 오랜만에 인사하네요! 잘 지냈나요? 저는 6월부터 8월 첫째 주까지 시카고대학교에서 ‘평균곡률 흐름(mean curvature flow)’을 공부하다가 우리나라로 돌아왔습니다. 오랜만에 만난 가족, 친구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냈어요. 여러분도 즐거운 여름을 보냈길 바립니다. 지금은 다시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사업을 하고 있으나, 동시에 대학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는 교수다.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대학원에서는 의과학 및 의공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생물학 기반의 도구를 개발하는 사업가다. 그런데 물리학과 교수라니. ‘그 물리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우냐’는 질문에 박 교수는 과거 본인의 경험을 들며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