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끈적끈적~ 말랑말랑, 농도 괴물은 너무 억울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놀이북 4쪽과 함께 보세요! “무시무시한 ‘농도 괴물’이 나타났다!”여기는 물이 깨끗하기로 유명한 ‘맑은 물 마을’.그런데 오늘, 농도 괴물이 마을에 쳐들어온대요!온몸이 끈적한 초록색 액체로 뒤덮인 농도 괴물은 마을을 온통 끈적하게 바꿔버리고 말 거예요.마을 주민들은 똘똘 뭉쳐 ... ...
- [특집] 꿀벌을 지켜 줘, 농도 괴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높아질수록 꿀벌이 살아남기 어렵다는 연구도 있어요. 루이스 지스카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환경건강학과 교수 연구팀은 1842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과 캐나다 남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그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식물인 ‘미역취’ 꽃가루 속 단백질의 양을 비교했어요. 그 결과, 172년 동안 ... ...
- [이슈]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강과 바다 너머, 땅과 땅을 잇는 튼튼한 다리! 거센 바람과 물결을 견디고, 셀 수 없이 많은 자동차와 기차가 지나가도 끄떡없어요.기다란 다리가 어떻게 그렇게 튼튼할 수 있을까요?1편 ‘아치교’, 2편 ‘트러스교’에 이은 마지막 편! 긴~ 끈을 연결한 듯한 길~쭉한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 ... ...
- [기획] OX 퀴즈 수학 하는 여성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22년 10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계원 / 아주대학교 수학과 명예교수, 한국여성수리과학회 초대 회장 2004년 한국여성수리과학회, 2022년 아시아오세아니아 여성수학자협회가 설립되기까지 동분서주 움직였어요. 유망한 여성 수학자를 발굴하려면 우리가 ... ...
- [특집] 2400년 난제의 비밀, 펠의 방정식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난 수학의 신. 똘똘한 인간에게 수학 문제를 내고 수학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지. 하여 언제나 인간 세계를 관심있게 바라보고 있도다.요즘 내가 주의 깊게 보고 있는 인간은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과연 그가 ‘펠의 방정식’을 발전시킬 수 있을지 몹시 궁금하구나. ▼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 [현장취재] 필즈상 수상자는 내 멘토! 허준이 교수님의 금쪽 상담소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월 18일 서울 성수동의 한 식당에서 2022 필즈상 수상자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님(고등과학원 수학부 석학교수)과 폴리매스 회원들이 툭 터놓고 수학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멘토링 행사를 진행했어요. 이 자리엔 허 교수님의 오랜 친구이자 동료 수학자인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2화. 수학과와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10호
- 1919~1931년 20세기 초 영국을 대표하는 수학자인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출신의 수학자로 잘 알려졌지만, 1919년부터 1931년까지 12년 동안 옥스퍼드대 세빌리안 기하학 교수를 역임하며 활동했습니다. 이 당시 하디는 친구에게 보낸 엽서에 리만 가설 해결하기, 최초로 ... ...
- [과동키즈] 한국 첫 거래소에서 탄소 사고 팝니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화학공학과로 이끌었다. 그러나 황 대표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일에 더 흥미를 느꼈다. 대학 시절에는 마라톤 동아리를 만들어 학과 친구들을 거의 다 참여시켰을 정도로 리더십이 뛰어났을 정도이니. 2007년, 증권사 애널리스트로 취업했다. “의사가 사람을 진단한다면, 애널리스트는 기업을 ... ...
- [특집] 어린이가 더 행복한 사회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발간한 2021 보고서(조사 연구 : 연세대학교 염유식 교수팀). 조사에 참여한 OECD 26개국 중, 우리나라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건강한 행동을 하는지 알아보는 ‘행동과 생활양식’에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가족과 친구 관계’나 ‘보건과 안전’에서도 높은 점수를 ... ...
-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위잉~! 위잉~!”봄을 맞아 요란한 소리를 내며 날아 다녀야할 벌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초 전국 양봉 농가에서 키우던 벌 약 83억 마리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도대체 벌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벌을 찾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