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d라이브러리
"
모델
"(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x-ray 숨은 그림을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단순하면서도 복잡하다. 또 화려하면서도 공허하다. 오늘도 베시는 슈퍼마켓에 들러
모델
을 찾는다. 생각보다 복잡한 것도, 의외로 단순해 실망을 주는 것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물은 놀라운 세계를 내면에 숨기고 있다’는 그의 생각은 변치 않는다.[굴삭기를 운전하는 프리다(위)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딥씨 챌린지는 2008년 출시된 롤렉스 딥씨(3900m 방수)의 후속
모델
로 엄청난 수압에도 정상적으로 작동됐다. 11기압을 버티는 소재 기술과 구조적 설계,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일본의 심해 잠수정 신카이6500은 수심 6500m의 해저 지역을 탐사할 수 있다. 수심 100m 해저도시 ... ...
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보물지도를 통해 세계의 무역항로도 살펴볼 수 있답니다.해양도시존에서는 해중주택
모델
하우스와 해중공원, 캡슐 주택까지 미래 바다속 생활을 만끽할 수 있어요.360° 아쿠아돔에서 3만 4000마리가 넘는 해양생물을 만나보세요. 강아지 얼굴을 한 귀여운 바이칼 물범에 해룡까지 세계 희귀종을 볼 수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않고 여러 이론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는 결국 현재의 기술수준에서는 정확한 예측
모델
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쓰나미는 시속 730km로 몰려온다극한 해양환경의 또 다른 문제는 지진해일(쓰나미)이다. 지난해 일본에서 발생한 쓰나미 사례에서 본 것처럼 복구가 힘들 정도의 파괴력을 지닌다. 해저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식스팩이 자리 잡은 복근이 있는 반면 어떤
모델
은 4개, 심지어 8개의 복근이 있는
모델
도 있었다. 개그맨 김형빈 씨의 복근은 6개로 나뉘었지만 배용준의 복근은 4개로 나뉜다. 운동 방법에 따라 복근 속 초콜릿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일까.복근은 가로무늬인 복횡근, 세로무늬인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부끄럽게 만들었습니다. 유일하게 잡지만 자기객관화를 높였습니다. 잡지에서 멋진 패션
모델
을 보면 자기 자신을되돌아보게 되는 모양입니다.마침내 소년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예쁜 여자 연예인을 보며 외모를 품평하던 오랜 솔로 시절이 소년의 객관성을 너무 높여 버린 겁니다. 소년은 객관성을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필즈상 수상자도 무려 38명이나 배출했죠. 좋은 점을 닮기 위해 미국의 고등과학원을
모델
로 삼았습니다.미림 : 교수님처럼 기초과학을 연구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되나요?김재완 교수 : 기초과학을 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언어가 필요한데, 바로 ‘수학’과 ‘영어’입니다. 수학은 과학적인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예측했다.지난해 말 발표된 연구 결과에 사람들은 흥분했다. 과학자들은 연구진의 실험
모델
과 다이아몬드 행성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을지에 관심을 나타냈다. 몇 개월 앞선 지난해 8월 은하계에서 다이아몬드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행성(PSR J 1719-1438)'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도 공개됐기 때문이다.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특구 육성사업은 그동안 구축된 인프라와 지원역량을 총체적으로 활용해 특구 성공
모델
을 조기에 만드는 데 주안점을 뒀다”고 밝혔다.세계의 과학도시와 경쟁할 한국의 과학도시가 탄생할까. 분명한 것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계획을 세우고 투자를 하지 않고서는 격차를 줄이기가 절대 ... ...
왕눈이 대왕오징어 “눈이 커야 살아남아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농구공 크기의 눈은 120m 이상 떨어져 있는 고래가 만든 반짝임도 볼 수 있었다. 이 수학적
모델
을 이용하면 선사시대 어룡의 큰 눈도 진화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예상했다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