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온도계가 없다고? 소리를 들어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실험 결과, 기름이 뜨거울수록 더 크고 많은 기포가 발생해 더 큰 소리가 났어요. 키야마 연구원은 “베테랑 요리사가 온도계 대신 끓는 기름의 소리만 듣고 온도를 판단하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답니다 ... ...
- [기획]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최고 난이도 탐사 종은 ○○?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나비탐사에 참여했어요.오픈 채팅방에서 다른 팀들과 소통한 것, 추헌철 나비 연구원님이 해주신 조언이 나비 부문 최다 기록을 남기게 된 원동력이었습니다. 박쥐 최다 탐사기록딸랄랑구팀 “최고 난이도, 박쥐를 찾아라!” (김선우)올해는 박쥐가 탐사종으로 새로 추가되어서 정말 기뻤어요. ... ...
- [특집] 먼 우주를 보는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저 비닐봉지처럼 생긴 것은 무엇일까요?크기가 굉장히 큰 것 같은데…. 사실 저것은 비닐봉지가 아닌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여러 국가들이 협력해 개발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태양 빛 가림막이에요. 12월 22일 예정된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망원 ... ...
- [특집] 제임스 웹! 너는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NASA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통합 과학 기기 모듈(ISIM) 프로젝트의 매튜 그린하우스 선임연구원은 “개발 과정 중 정말 많은 테스트를 거쳤다”며, “곧 있으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답니다 ... ...
- [가상 인터뷰] 더워지는 날씨에 아마존 새들이 점점 작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박사는 지구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러 이곳 아마존에 방문했어요. 연구원들이 아마존으로 간 이유가 있나요?열대 조류는 아마존 깊숙한 곳에 살고 있어서 외부 환경이랑 고립되어 있답니다. 지리넥 박사는 공중이나 높은 곳에서 오랜 시간 생활하는 새가 기후변화의 영향을 ... ...
- [현장취재] 환경·사회 문제 함께 해결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이를 더 강화하자고 제안했지요. 버드히어로 팀의 고나영 연구원은 “6개월에 걸쳐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하고 최종 발표까지 거의 한 해를 쏟아부은 시민과학풀씨 활동은 평생 잊지 못할 것 같다”며 “장려상이라는 결과까지 얻게 되어 뿌듯하다”고 말했어요. 또한 ... ...
- [특집] 감마선 폭발 vs 우주 쓰레기? 과학자들, 논쟁을 벌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것으로 분석했어요. 폴란드 아담 미츠키에비치대학교의 미하우 예지 미하워프스키 연구원은 “중국팀이 본 것은 러시아 로켓의 잔해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죠.논쟁은 지금도 진행 중이에요. 이런 반박과 논쟁이 불편하다고요? 천동설과 지동설처럼, 예로부터 과학은 끝없는 논쟁을 통해 가장 ... ...
- [헷갈린 과학] 미끌미끌 미끄러워 미꾸라지 VS 미꾸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미꾸라지와 미꾸리가 다른 물고기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미꾸리는 미꾸라지의 사투리 아니냐고요? 미꾸라지와 미꾸리는 아주 비슷하게 생겼지만 엄연히 다른 종이에요. 무엇이 어떻게 다른 건지 꼼꼼히 관찰해 봅시다! 미꾸라지미꾸라지는 우리나라 논이나 하천에서 볼 수 있는 토종 민물 ... ...
- [기획] 해수면 변화 단서 고문서에서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여긴가?!”나는 조선 탐정. 전라북도 고창군 곰소만 갯벌에 왔지.지금 내 손엔 옛 학자들이 남긴 고문서들이 잔뜩 들려있어. 옛 기록을 보면 1500년 전 이 근처에 염전이 있었다고 나와 있지. 난 이 염전의 위치로 해수면 변화를 유추해 기후변화의 단서를 찾아볼 거야. 궁금하면 따라와! ▼이 ... ...
- [기획] 고문서 속에 등장한 염전 이야기에 주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담긴 설화 내용 설화, 지리서, 지도 다양하게 살폈다!지난 10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남욱현 박사와 경북대학교 최정해 교수팀은 전라북도 곰소만의 지형과 고문서에 나온 염전 위치의 기록을 연관 지어 ‘해수면의 변화’를 파악했다고 발표했어요.소금과 해수면이 무슨 관계냐고요? 1907년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