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뉴스
"
고정
"(으)로 총 1,0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09.28
그려진다. 이 식에서 이용되는 세 개의 점을 ‘조절점’이라고 한다. 양 끝점(A,C)은
고정
돼 있지만 중간에 있는 점(B)은 방향만 알려주고 선 위를 지나지는 않는다. 선을 계속 연결해 윤곽을 만들어놓고, 원하는 점을 당겨 조절하면 부드러운 곡선이 나온다. 조절점이 많을수록 곡선이 정교해진다. ... ...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5
이탈리아의 카이트젠사가 개발한 연 모양의 풍력발전기는 발전기가 지상에
고정
돼 있다. 연이 날아갈 때 실패 풀리듯 발전기가 돌아간다. - 카이트젠 제공 ● 섬이나 오지에서 ‘좋아요’ 물론 이런 아이디어가 앞으로 살아남을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최 연구원은 “시장에서는 기존 ... ...
[신나는 공부]취약한 단 하나의 유형을 극복하라
동아일보
l
2015.09.22
들어본다. 국어 지문에서 정답의 근거를 찾아라 국어영역에서 학생들이 갖는 가장 큰
고정
관념 중 하나는 ‘문학 문제를 잘 풀려면 많은 작품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EBS 교재에 나온 작품이더라도 교재에는 나오지 않은 부분을 발췌해 문제가 나오는 경우도 많다. 특히 문학은 ... ...
[영상] '마리텔' 김영만 아저씨의 1분 종이접기 강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1
상자를 만드는 재료인 골판지! 골판지를 접어서 곳곳에 구멍을 뚫고 종이 노끈으로
고정
시켜 만들었어요. 학생들은 다른 도구를 전혀 쓰지 않고 3일 동안 오직 종이를 접고 이어 붙여서 건물을 완성했지요. 종이로 만든 건물을 실제 사용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요? 건물의 재료인 골판지는 두 장의 ... ...
제주 흑돼지, 육즙 풍부하고 부드러운 이유
2015.09.16
많이 낳는 품종인 요크셔와 랜드레이스 품종에서는 태아 착상에 관여하는 CLDN1 유전자가
고정
돼 있었다. 이상재 농촌진흥청 축산생명환경부장은 “한국 재래돼지의 우수한 육질 형질과 외래 돼지 품종의 뛰어난 육량 형질의 유전적 특징을 우수한 국산 씨돼지의 개발과 개량에 적극 활용할 ... ...
태양 따라 고개 돌리는 ‘해바라기’ 태양전지
2015.09.09
고정
된 태양전지보다 태양빛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이번에 개발된 태양전지는
고정
형보다 태양빛을 36% 정도 더 받을 수 있었다. 기존에도 모터를 달아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만든 태양전지가 있었는데, 다른 태양전지에 비해 태양빛을 40% 더 많이 모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연구결과가 나왔다. - 위키피디아 제공 수정체에서 빛이 통과하는 부분인 눈동자는
고정
된 게 아니라 주변 근육의 작용으로 크기가 변한다. 즉 망막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로, 빛이 강하면 크기가 작아지고 약하면 커진다. 따라서 사람처럼 원형인 게 가장 무난한 구조일 텐데 왜 ... ...
[내 생에 최고의 의술]‘척추결핵’으로 녹은 엉치 척추뼈 재건…
동아일보
l
2015.09.07
작업을 한다. 이후 등을 절개해 보형물을 녹아내린 뼈 자리에 채워 넣은 뒤 단단히
고정
한다. 수술에는 9시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수술 성공 여부는 인위적으로 연결한 뼈가 얼마나 잘 붙는지에 달려 있다. 김 교수는 “환자 나이가 젊어 다행히도 뼈가 잘 붙었다”고 했다. 정 씨는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40cm쯤 떨어진 뒤 글자 R(오른쪽 눈을 뜬 경우) 또는 L(왼쪽 눈을 뜬 경우)에 시선을
고정
한 뒤 서서히 다가간다. 글자가 맹점 안에 들어가는 순간 사라진다. - 위키피디아 제공 ‘신기하긴 한데 왜 맹점은 보이지 않지?’ 즉 글자가 사라졌으니 뭔가 있기는 한 건데 그렇다면 검은 반점이 보여야하지 ... ...
PART 0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8.27
값이 어떤 ‘
고정
된 값’으로 다가가는데, 그 차이가 우리가 원하는 만큼 작아질 때 그
고정
된 값을 다른 모든 값들의 극한이라고 부른다”고 정의했다. 이로써 무한소는 ‘그 양의 극한이 0일 따름’이라는 뜻이 됐다. 무한소라는 모호한 개념 위에 있던 미적분을 극한 개념을 통해 일반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