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몇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소리는 귀 고막
바깥
족 공간인 ‘외이도’를 통해 먼저 사람의 몸에 들어온다. 이 소리는 고막과 이소골이라는 귓속뼈를 진동시킨다. 이런 진동은 다시 달팽이관(와우) 내의 림프액의 움직임을 만든다. 림프액의 진동은 약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회전하는 블랙홀(커 블랙홀)에서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서는 ‘에르고 스피어’
바깥
쪽 특정 궤도에 있는 물체가 2개로 분리되고 둘 중 하나가 빨려 들어간다면,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비슷한 이유로 반대 물체는 블랙홀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정통SF의 공식을 충실하게 재현한 쿠퍼의 선택은 ... ...
감기에 잘 걸리지 않는 비결, 세균 죽이고 백혈구 증대시킬 묘안은?
동아닷컴
l
2014.12.09
집 환기에 소홀하기 쉬워 집안 공기는 세균이 적체돼 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이에
바깥
공기를 쐬면 실내의 세균에서 벗어날 수 있고 산책을 하면 면역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로 작용한다. 운동을 하면 세균을 죽이고 백혈구를 증대시킨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DKBnews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소자에서 ‘거대전극효과’가 발생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강유전체는
바깥
에서 전압을 걸지 않아도 스스로 양극과 음극으로 나눠지는 전기적 분극 현상이 일어나는 물질로,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해서 분극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데 전기장이 사라져도 분극의 방향을 그대로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소지가 있다. 연구진은 지난해 인화인듐(InP) 중심체에 아연-셀레늄-황 합금(ZnSeS)으로
바깥
을 감싸 카드뮴 없이 녹색 퀀텀닷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전석우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8월 순수 흑연으로만 이뤄진 ‘그래핀 퀀텀닷’을 만들었다. 전 교수는 “그래핀 퀀텀닷은 생체 독성이 적어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블랙홀 내부에서 얻은 정보를 어떻게
바깥
으로 내보내느냐는 점이다. 일단 들어가면 아무것도 나올 수 없는 블랙홀에서 정보를 전송한다는 건 불가능하다. 유일한 가능성은 중력이다. 영화에서도 중력을 이용해 정보를 보낸다. 김 교수는 “블랙홀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기술로 인정받지 못했다. 연구진은 이들 부품을 하나로 합쳐 작게 만든 뒤 안구
바깥
쪽 바로 옆에 붙여 수술 부담을 줄였다. 정흠 교수는 “토끼에게 인공 눈을 이식한 뒤 뇌파를 측정해 빛의 반응 여부를 확인했는데 그 결과가 상당히 좋았다”면서 “조만간 임상 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 ...
지구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2014.10.03
필수 성분인 인(P). 최근 이들이 태양이 생성되기도 전에 처음 만들어졌다거나 태양계
바깥
의 외계에서 기원했다는 연구가 속속 발표되면서 지구 생명체의 외계 기원설이 힘을 얻고 있다. ●태양보다 물 먼저 생겨 물은 생명의 근원으로 불린다.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이 필요하기 ...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4.10.01
나노구조 산화아연을 이용해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을 높였다. 나노구조를 바꿔 빛이
바깥
으로 쉽게 나올 수 있도록 해 발광량을 늘리고, 극성용매를 써 전자의 이동을 자유롭게 만들었다. 그 결과, 발광효율이 17.8%로 기존 대비 3배 이상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껍질 으깨지며 과립 젤이 균일한 졸이 돼 그렇다면 왜 바나나 껍질 안쪽 면이 아니라
바깥
쪽 면을 밟을 때 더 미끄러운 걸까. 바나나 껍질의 입장에서 면이 어긋나는 지점, 즉 미끄러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곳이 안쪽 면이기 때문이다. 즉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안쪽 면이 바닥에서 미끄러지면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