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높은
출력
으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단위면적(㎠)당 0.5와트(W)에 불과했던
출력
을 1.3W/㎠로 높였으며, 500시간 이상 안전성 평가를 거친 결과 전압이나 전류가 낮아지는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가스관을 타고 들어오는 천연가스로 전기를 ... ...
초스피드 노로바이러스 검출 키트 상용화 임박
2014.12.22
뒤 유전자 칩에 담아 진단키트에 넣으면 즉시 감염 여부와 노로바이러스의 종류까지
출력
된다. 2012년 식중독균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국내 피해액은 4000억 원으로 추정되며, 2013년 3월에는 수출용 굴의 노로바이러스 감염으로 8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하기도 했다. 권 연구원은 “1시간 만에 ... ...
로봇치료·3D프린트·암新藥… 대학병원, 미래를 연다
동아일보
l
2014.12.17
컴퓨터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설계도면대로 실제 제품을 찍어내는 기계다. 일반 문서
출력
프린터의 3차원 버전인 셈. 3D 프린트 기술은 주로 성형외과에서 이용돼 왔다. 골절 환자의 뼈 단면을 맞추는 수술, 양악 수술 전에 모의 수술에 이용됐다. 최근에는 3D 프린트 기술로 만든 인공기관을 인체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05
뒤 유전자 칩에 담아 진단키트에 넣으면 즉시 감염 여부와 노로바이러스의 종류가
출력
된다. 여기까지 대략 1시간이 걸린다. 권 연구원은 “신선식품의 노로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유통 전에 검사하려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사실상 불가능했다”면서 “다른 식중독 바이러스인 로타바이러스와 A형 ... ...
[청년드림/인터뷰]3D 프린터 전문업체 후나인쓰리디피 이정훈 대표
동아일보
l
2014.11.19
의기투합했다. 김태화 연구기술부장(39)은 “당시 그의 사업 계획을 듣고 평범한 이미지
출력
이 아닌 무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멋진 회사를 만들고 싶다는 꿈이 절로 생겼다”고 말했다. 하지만 창업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제작단가를 맞출 수 있고 성능이 좋은 3D 프린터를 구하기 위해 전국을 ... ...
KAIST생이 개발한 3D 프린터, 大인기
2014.11.18
기능을 추가했으며 스마트폰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일반인도 쉽게
출력
물을 설계할 수 있게 했다. 독일의 제품 디자이너에게 의뢰해 제품의 세련미를 더하는 지혜도 발휘했다. 이 제품은 이달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3D 프린팅 코리아’에서 처음 선을 보인 직후 뜨거운 호응을 ... ...
원전 부품시험서 위조, 원천봉쇄 한다
2014.11.17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17일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오프라인으로
출력
된 성적서를 일부 업체가 위·변조해 불량 부품을 납품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였다. 하지만 이 서비스를 도입하면 누구나 시험성적서를 인터넷에 등록할 수 있고, 시험성적서를 위조할 경우 누구나 위조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2차원 평면구조로 돌아가려는 습성이 강해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먼저 고
출력
반도체 소자에 흔히 쓰이는 실리콘 카바이드로 3차원 그래핀의 주형이 되는 탄소구조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탄소구조체를 가열해 실리콘을 선택적으로 제거해 탄소원자만 남은 입체 그래핀을 완성했다. 이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번 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반영구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강 교수는 “용량과
출력
이 크고 수명까지 긴 소재를 간단히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고용량 에너지 저장 기술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과학 분야의 권위지 ‘에너지와 ... ...
젊은 뇌는 빨개요
2014.11.02
지금까지 발표돼 ‘웹 오브 사이언스’에 등록된 논문을 의미한다. 이들 논문을 모두
출력
해 순서대로 쌓으면 그 높이가 무려 5km를 훌쩍 넘는다. 표지에는 ‘100’이라는 숫자가 표시돼 있다. 숫자대로 이들 중 중요한 논문 100개를 꼽는다면 기준은 무엇일까. 논문의 중요성을 평가하는 표준모델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