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바지 염료가 이차전지 물질로 변신
2014.10.15
용량이 40%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으로 충방전을 할 때도 용량의 75%를 유지하는 등
출력
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원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물질에서 나트륨 이차전지에 적합한 양극물질을 찾은 만큼 음극물질용 물질도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거쳐 작동한다. 카메라 센서가 시각 정보를 인식하면 기억된 신호와 비교한 뒤
출력
형태가 결정되는 방식으로 사람의 뇌가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똑같이 구현한 것이다. 지금은 간단한 숫자를 분별하는 수준이지만 멤리스터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 얼굴 표정을 보고 감정을 ... ...
40cm ‘조종사 로봇’으로 비행기 조종 세계 첫 성공
2014.10.03
기울인 부분은 제어 프로그램이다. 비행기의 항로 정보를 받아들인 로봇이 비행기의
출력
과 기울어진 상태 등을 파악해 이를 토대로 판단을 내리고 조종하게 만드는 프로그램이 조종사 로봇의 핵심이다. 로봇이 사람 대신 비행기를 조종할 수 있게 되면 신형 비행기를 개발할 때 사람이 위험을 ... ...
가속기 핵심장치 ‘방사선 발생장치’ 국내기술로 개발
2014.10.01
조정했다. 또 자기장의 세기 대신 자석의 주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 방사선의
출력
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도 성공했다. 결국 강력한 자기장을 유지하면서도 실험의 안정성과 정밀도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방사선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연 양자빔 기반 ... ...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큰 힘을 가해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또 기존 전지보다 충·방전 효율이 3배나 높아 고
출력
전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 연구관은 “종이 한 장으로 전극과 분리막을 구현한 새로운 개념의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을 뿐 아니라 나무 소재로 이용해 친환경이라는 점에 의의가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말 독일 자동차 관련 연구개발 기업 ‘나노플로우셀 AG’는 주행거리 600km가 넘고, 최고
출력
920마력이 넘는 고성능 전기자동차 ‘콴트 e-스포츠리무진’을 독일 기술감독협회(TUV Sud)의 인증을 받아 일반 도로에서 주행이 가능해졌다고 발표했다. 이 차가 시속 100km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 ... ...
Happy Birthday, 보이저 1호!
2014.09.05
1호’가 5일로 37번째 생일을 맞는다. 1977년 지구를 떠난 보이저 1호는 무게 721.9kg에
출력
420W급 엔진을 달고 37년째 우주 공간을 비행하고 있다. 현재 위치는 태양에서 약 193억 km 떨어진 지점. 인류가 우주로 쏘아 올린 탐사선 가운데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최초 기록 보유자 ‘보이저 ... ...
백작부인이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머라고?
수학동아
l
2014.08.27
- (주)동아사이언스/ ⓒ일러스트 허경미 제공 위 화면은 'hello, mathematics'라는 글자를
출력
하도록 서로 다른 두 가지 언어로 코딩한 모습이다. 하나는 잘 알려진 C언어 코딩이고, 하나는 세계 최초 프로그래머인 에이다 러브레이스의 이름을 본 딴 '에이다 언어' 코딩이다. 이처럼 컴퓨터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빠져나가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해 재사용했으며 엽록소를 전극기판 위에 배열할 때
출력
저하 현상 역시 감소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성공했다. 실험결과 기존보다 일반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200% 향상됐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는 엽록소를 비롯해 자연계에 풍부한 알칸닌,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사용할 때와 비교해 전력 소모는 0.5V(볼트) 감소했고, 1A(암페어)의 전류를 흘려줄 때 광
출력
은 9% 향상됐다. 누설전류 등 신뢰성 테스트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이 사용한 유리 투명전극이 전류를 효과적으로 주입하고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 덕분이다. 김 교수는 “최근 개발된 유리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