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16,159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06
실어 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는 더 커지길 원하기 때문이다. LG경제
연구
원 조준일 부
연구
위원은 “황의 법칙이 디지털 기기의 발전 기준을 제시해 준 것은 분명하다”고 밝혔다.황의 법칙은 디지털 시대를 사는 우리 삶의 속도도 바꿔놓았다. 현 교수는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06
기상, 고층대기, 지진파, 지자기는 물론 동식물상과 빙하의 자료를 수집하고 변화를
연구
하고 있다. 남극의 세종과학기지는 남극반도의 북쪽 킹조지섬에, 북극의 다산기지는 노르웨이 북쪽의 스발바드 군도에 위치한다.해면기압관측소의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가 줄어들어 기압이 낮아진다. 이를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06
통해서 그런 비판에 답했다. 하비가 1628년 ‘동물의 심장과 피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
’를 출간한지 21년이 지난 후였다.지금 하비의 이론은 상식이 됐다. 유치원에서 아이들에게 사람의 몸 속을 처음 가르칠 때도 심장에서부터 피가 흘러 온몸을 돌고 다시 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모형을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6
않은 사람이 누구인지 한번 맞혀 보아라. 썰렁 홈즈가 이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우리
연구
를 모두 완성하여 그림자 세상으로 만들 것이다. 음~하하하하하하하~!!!” 썰렁 홈즈의 정답첫 번째 문제의 답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촛불과 양초, 그림자가 모두 일직선에 있어야 한다. 6번 양초가 정답.두 ... ...
채식주의자가 된 육식공룡
과학동아
l
200506
위한 것이며 먹이를 쫓기 위해 발달된 형태”라고 분석했다.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공룡
연구
자 폴 바레트 박사는 “이 공룡이 육식을 하다 초식공룡으로 바뀐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들이 살던 곳에 식물을 먹는 다른 경쟁자가 없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고 조심스럽게 추측했다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06
· 해저평가(海底評價), 생물자원의
연구
를 중심으로 하고 그 아래로 각기 몇 가지
연구
계획이 실시되었다 데이터를 집적시켜 목적에 따라 각기 필요한 처리를 일괄처리 하는 방식 데이터 처리의 한 방식이며 집중 데이터 처리방식의 약칭이다 천공(穿孔) 차드나 종이테이프를 매체로 기록 · 대조 ·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06
‘특공대’ 면역세포다.
연구
팀은 2, 3년 전 쥐를 대상으로 암과 기생충의 관계를 잠깐
연구
했지만 아직은 결과가 일정하지 않다고 한다.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는 당뇨병 환자를 기생충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당뇨병 환자가 맞는 인슐린 주사를 유전자 변형 기생충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성균관대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06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무어의 법칙과 무관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
가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하나의 반도체 칩에 집적할 수 있다. 현재는 대부분 반도체 칩 하나에 하나를 집적하는데 앞으로는 칩 하나에 여러 개를 집적하게 될 것이다. 최근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06
‘헤마글로’라는 새로운 검색 물질이 사용되는 추세며, 국립과학수사
연구
소에서도 이
연구
가 한창이다.조선시대 과학수사대도 혈흔을 찾기 위해 화학물질을 활용할 줄 알았다. 증수무원록언해에서 명시한 고농도의 초가 바로 그것이다. 이윤성 교수는 이 방법에 대해 “다른 단백질을 제외하고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06
각종 주파수의 순음들이 여러 개 섞여 있는 복합음으로 대표적인 예가 말소리다. 따라서
연구
자들은 음악과 언어에 대한 정보 처리가 뇌보다 훨씬 말초적인 기관인 내이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소리가 뇌까지 가기 전에 벌써 왼쪽과 오른쪽 귀가 소리를 서로 다르게 받아들인다는 ... ...
이전
913
914
915
916
917
918
919
920
9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