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16,159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06
형태, 깊이, 움직임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과연 어떤 것일까. 연세대와 충북대
연구
팀이 197명에게 시각적인 구성요소가 뚜렷이 차이 나는 사진 180장을 보여주고 감성 반응을 측정했다.감성 반응 조사 결과 1장당 평균 60개의 형용사 어휘가 추출됐으며 이를 다시 분류해 모두 16가지 감성으로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06
돈이나 명예 보다는 세상의 구조를 아는 것이 재미있다는 양 교수는 요즘 양자암호
연구
에 매달리고 있다. 정보이론과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만든 암호로 절대로 깨지지 않는다고 한다. 양자컴퓨터는 현재 존재하는 모든 암호를 풀 수 있다. 미국 뿐만 아니라 빈 라덴도 양자암호와 양자컴퓨터를 ... ...
VHS vs 베타
과학동아
l
200506
기술을 개량할 수 있는 여지를 허용하지 않았다. 만일 개선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소니의
연구
진들이 해야 할 일이었다. 자체적으로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가면서 제작까지 직접 담당해 시장에서 성공하게 되면 다른 기업에서는 자연스럽게 소니의 베타맥스를 채택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 소니의 ... ...
과학 다큐 시리즈 대명사 - 노바온라인
과학동아
l
200506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관이다.BRIC 사이트는 생물학 관련 국내외
연구
정보, 동향정보, 유전자정보, 생물종정보 등 전문정보를 중심으로 제공하고 있어 일반인이 이용하기는 불편하다. 하지만 국내의 다양한 생물 정보와 사진 등을 볼 수 있는 한국의 생물 코너는 일반인도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시련을 이겨 내고 통과된 논문으로 한국과학상도 수상하게 된 것이지요.교수님은
연구
외에도 신문이나 잡지에 이공계의 역할에 대한 글을 쓰고 한국물리학회의 교육위원장으로 잘못된 과학교육을 바로잡는 일을 하는 등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도 많이 하고 있답니다.의사가 되고 싶었어어린 시절 ... ...
폭발물 탐지하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505
있는 전자가 들떠서 빛을 낸다. 그러나 TNT가 신물질에 달라붙으면 빛이 나오지 않는다.
연구
팀의 에이메 로즈 박사는 “이 물질이 유기물질 중 가장 적은 에너지로 빛을 내기 때문에 오랫동안 좋은 성능으로 쓸 수 있다”고 밝혔다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05
서로 다른 독립적인 경로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기억재강화
연구
를 통해 기억력을 더 높여 암기과목 내용을 술술 외울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나올 법한 일이었던 원하는 기억을 선택적으로 지우는 일도 가능해질지 모른다. 하지만 주의하자. 나쁜 기억을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05
“우리 집에서는 지하수를 마십니다.” 환경복원을
연구
하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양지원 교수의 말이다.“그런데 근처에 세차장이 생기면서 ... 합니다.”앞으로도 깨끗한 환경을 지키려는 열정을 간직하고픈 환경복원공학
연구
실은 사람과 자연이 더불어 살 수 있는 공간을 꿈꾸고 있다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05
들어선다.
연구
원들은 이곳에서 우주와 똑같은 조건에서 일어날 인간의 생리 변화를
연구
하고 그 결과를 우주식품 개발에 실제 적용하게 된다. 특히 장거리 우주여행에 대비해 우주선 안에서 농작물을 생산하고 가공하는 방법부터 폐기물을 처리하고 재활용하는 전 과정이 세계에서 3번째로 구축될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05
흡수되는 문제점이 있어 임상에 활용하기에는 아직 어렵기 때문이다.하지만 한국원자력
연구
소에서 개발한 자유전자레이저는 출력이 강해 다른 광원보다 투과력이 높다. 최근에는 이 장치를 이용해 처음으로 귀뚜라미를 테라헤르츠 투과 영상으로 촬영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이런 속도라면 ... ...
이전
915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