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넣은 주스를 마시게 한 다음 동일한 식단으로 식사 후 배고픔과 포만감을 느끼는
정도
를 조사했다. 그 결과 캅사이신을 넣은 주스를 마신 그룹이 단시간 내에 포만감이 증가하고 지방을 섭취하는 양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그러나 가톨릭대 식품영양학과 손숙미 교수는 “매운 음식은 식욕을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항상 똑같다고 느낀다. 달리는 사람이 미처 깨달을 틈이 없을
정도
로 빨리 바뀌는 것이다. 덕분에 아디다스 1을 신은 발은 그만큼 호강한다. 혁신 거듭할 디지털 아디다스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베컴의 축구화와 축구공 피버노바를 기억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보통 축구화는 ... ...
추운 겨울을 이겨 낸 봄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답니다.복수초와 앉은부채는 스스로 열을 내서 주변 눈을 녹일
정도
라고 해요. 하얀 눈 속에 아름답게 핀 꽃을 보면 그 씩씩함에 대견하기까지 하답니다. 이름도 너무 신기해‘복수초’란 이름을 처음 들으면 무시무시한 복수의 전설을 떠올리는 친구들이 있겠지만 ... ...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바람이 세거나 날이 어두워지면 사냥을 하지 않는다)’이라는 매사냥의 규칙이 있을
정도
로 매를 배려한답니다.매사냥의 멋을 느껴 보세요“공기총이 편하다고 해서 하루에 수십 마리씩 꿩을 잡으면 그건 사냥이 아니라 잔인한 살육이지요. 매사냥은 하루에 세 마리의 꿩을 잡게 되면 그 날 사냥을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남대서양 위쪽에서 남인도양 쪽으로 차츰 넓어지고 있다.현재 지자기의 세기는 15%
정도
약해진 상태며 그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덴마크의 인공위성 에르스텟이 2000년에 측정한 지자기 세기와 미국의 인공위성 마그셋이 20년 전에 측정한 결과를 비교해보면 현재 속도로 지자기의 세기가 줄어들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10위까지의 기업을 적어놓은 표가 붙어 있다. 박 사장은 “매출이 1조원을 넘기면 4, 5위
정도
할 것”이라며 “2010년까지 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우리 회사의 강점은 먼저 광학, 정밀기계,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의 1등 전문가들이 한 회사에서 협력해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켜 수분 함유량을 10% 아래로 떨어뜨린 다음 다른 사료에 3∼4%
정도
씩 섞어 쓰는 배합사료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건조 과정에서 나오는 폐수는 따로 처리한다.습식 사료화는 음식물쓰레기를 그대로 또는 물을 약간 타서 죽 상태로 만들어 돼지, 오리 같은 가축의 먹이로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식물에서 PAPP5 유전자를 과다 발현시켜봤다. 그 결과 빛에 대한 민감성이 실제로 20~30%
정도
증가했다. PAPP5 유전자가 피토크롬이 최적의 상태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조절한 것이다. 일조량 적어도 고품질 벼 수확“농작물에 PAPP5 유전자를 삽입하면 적은 양의 빛을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고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달에 잠입하는 시각에 달은 남동쪽 대단히 낮은 곳에 위치해 고도가 불과 10。
정도
다. 그러나 약 1시간 뒤 안타레스가 달에서 벗어나는 시간에는 고도가 높아져서 관측에 지장이 없을 것이다. 성식이 일어나는 시각은 잠입시각이 0시 26분 무렵이고 출현시각이 1시 24분 경이다. 대략 1시간 가량 성식이 ... ...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출판 수준이 1990년대 한국의 수준보다 나았다기보다는 국내에서는 시시한 수수께끼 책
정도
로 생각하고 너무 성의 없이 만들었던 게 아닌가 싶다.그래서인지 인터넷에서 한국과 일본의 퍼즐 관련 웹사이트들을 비교해 보면 양과 질 모든 면에서 인터넷 강국을 자처하는 우리나라가 훨씬 뒤쳐져 있다 ... ...
이전
913
914
915
916
917
918
919
920
9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