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씽씽~ 쓩쓩~ 눈 위에서 즐겨 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생긴 물막이 있어서 그런 거예요. 스키나 스노우보드, 눈썰매를 탈 때도 눈 위에 0.01cm
정도
의 얇은 물막이 생기는데, 이 물막이 있어서 스르르 미끄러지게 되지요. 이런 물막은 움직이는 물체에 생기는 마찰열 때문에 눈이 살짝 녹아 생기는 것이랍니다. 눈 위를 지나가고 나면 마찰열은 사라지고 ... ...
환경의 변화를 알려 주는 한강의 얼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인정한답니다. 올해 한강이 얼기 시작한 때는 1월 10일로 지난 30년간의 평균보다 3일
정도
는 빠른 기록입니다. 하지만 100년간의 기록으로 볼 때 점점 늦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강이 어는 시기는 강물이 흘러가는 세기와 강폭, 강물의 성분 변화 따위에 영향을 받지만 대기오염과 지구 온난화로 인한 ... ...
50나노급 반도체 신재료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줄이려면 유전율이 2 이하인 절연재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전율은 전기가 통하는
정도
다.연구팀은 공 모양의 나노 신소재(덴드리머)를 이용해 지름 3nm인 공기 구멍이 균일하게 나 있는 박막을 만들어 유전율 1.6을 실현했다. 이 교수는 “이 유전박막은 안정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50나노급 이하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동해의 일본 쪽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해안까지 도달하는데 약 1시간∼1시간 반
정도
걸린다. 그러나 동해안에 가까운 해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 경우는 대비에 필요한 시간이 30분 이내로 줄어든다.지진해일은 날씨와 관계없이 발생하므로, 어느 날 동해안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만일 세포내 단백질의 조성이 급격히 바뀌거나 활성이 바뀐다면 몸이 균형이 깨지고 그
정도
가 심하면 질병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단백체 연구는 질병을 이해하고 진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단백체 연구의 중요한 수단이 바로 ‘단백질 칩’입니다. 소량의 시료만 있어도 세포내 각종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후 연구팀은 살아남은 포르티스(핀치의 한 종)들의 부리 높이가 가뭄 전보다 평균 0.5mm
정도
늘어난 사실을 발견했다. 가뭄 동안 씨앗의 평균 크기와 강도가 증가해 크고 단단한 부리를 가진 녀석이 유리해졌기 때문이다. 불과 수년 만에 큰 부리를 가진 포르티스가 ‘선택’받은 것이다. 그러면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조정을 할 수 있었다.우리 풍선은 기존 기록인 32일을 깨며 40여일이나 하늘에 머물렀을
정도
로 성공적이었다. 지난 한 달 동안 헬륨와 산소 원자핵으로 구성된 우주 입자가 검출됐다. 이들이 우리가 찾는 초고에너지 입자인지 확인하려면 시간이 좀더 필요하다. 몇 년이 걸릴지도 모른다.지도교수인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 같은 분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조혈줄기세포를 정상 간과 함께 배양했을 때는 분화
정도
가 미미했다.그런데 흥미롭게도 손상된 간을 넣어둔 배양액으로만 조혈줄기세포를 배양했을 때도 정상 간세포로 분화했다. 이 배양액에는 손상된 간이 분비하는 인자들이 들어 있다.또한 간이 손상된 암컷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부분에는 밝은 별이 없다. 그나마 가장 밝은 별은 살쾡이자리 32번성과 33번성으로 6등급
정도
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는 어느 나라에 속할까? 오스트레일리아 서쪽바다에 해당한다. 오리온자리의 베텔기우스와 리겔은 인도양 중간쯤에 있다. 땅이 넓은 중국은 역시나 밝은 별을 지니고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시료는 1/50mm의 두께로 가지런히 준비돼 있었는데, 오늘날 현미경 시료를 준비할 때도 이
정도
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아 학자들은 매우 놀랐다.전자현미경을 동원해서 정밀하게 시료를 조사하고 레우벤후크의 관찰기록과 대조해 본 결과 그의 관찰이 놀랍도록 정확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 ...
이전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