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과학동아 l2009년 10호
- 크기는0.3~0.6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기가 80~120nm(나노미터, 1nm=10-9m)지만 보통 지름 5μm 이상의 침방울에 섞여 전파되기 때문에 마스크에는 충분히 걸러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그렇다면 꼭 KF94 등급의 마스크를 써야만 신종플루를 예방할 수 있을까. ...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원현장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과학교사들이 머리를 맞대고 만든 재밌는 과학책이 나왔다. 나노기술에서 유비쿼터스, 유전자 조작,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 탄소배출권 거래, 줄기세포까지. 이 책은 우리가 흔히 들어 익숙하지만 정확히 알지 못하는 과학기술이 현대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수 있다. 또 2박 3일간 부산대 나노과학기술대학에서 실제로 강의를 듣고 실험도 하는 나노체험여름캠프와 해외학회연수 같은 특전도 준다. 일반적인 과학 분야 경시대회처럼 하루 시험을 치르고 결과를 얻는 게 아니라 약 1년 가까이 학생들이 직접 실험해 얻은 성과물로 평가를 받기 때문에 미래의 ... ...
- 숨겨진 통로‘플랫폼 9와 3/4’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메타 물질이 빛을 특이하게 굴절시키는 특성을 이용한다.첸 박사는 “두께 300~800nm(나노미터, 1nm=10-9m) 정도 되는 아철산염 메타 물질로 숨겨진 통로를 만드는 중”이라며 “이 문 앞에 서 있으면 마치 거울 앞에서 있는 느낌일 것”이라고 밝혔다 ...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뒤 세계 곳곳에서 밀려드는 문의와 요청으로 업무를 제대로 할 수 없을 지경”이라며 “나노렌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좀 더 명쾌히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에 반한 석학들과학동아 l2009년 09호
- .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09년 09호
- 계속 줄여야만 한다. 인텔사는 나노기술 발전에 힘입어 현재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100nm(나노미터, 1nm=10-9m) 이하로 줄였고 CPU 속도를 4GHz(기가헤르츠,1GHz=109Hz)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하지만 회로 선폭이 분자 하나 크기와 비슷한 10nm에 이르려면 현재 방식의 컴퓨터로는 불가능하다. 인텔사는 이 ...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과학동아 l2009년 09호
- MRI) 등에서 좀 더 좋은 영상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진단시약을 나노기술로 개발하고 있다. 또 여기서 얻은 많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해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바이오영상처리 및 전송기술’ 분야는 광주과기원 정보기전공학부와 함께 연구하고 있다.“바이오광학영상 ...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마치 성냥개비처럼 보인다. TMV는 지름이 18nm, 길이가 300nm이므로 나노 성냥개비인 셈이다.TMV는 염기 6400개로 이뤄진 RNA단일가닥 유전체를 단백질 2130개가 감싸고 있다. 이때 RNA 가닥은 실타래처럼 엉켜 있지 않고 DNA이중나선처럼 나선을 이루고 있다. 단백질은 RNA 나선을 따라 ...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과학동아 l2009년 08호
- GALEX)는 이들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만든 작품이다. 갤렉스는 파장이 177~283nm(나노미터, 1nm=10-9)인 자외선 영역을 볼 수 있어 이 영역대 빛을 많이 내는 고온의 별들을 높은 감도로 관측할 수 있다.이영욱 교수팀과 이석영 교수팀은 2006년 영국 옥스퍼드대를 비롯한 다국적 연구팀과 공동으로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