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체줄기세포만 쏙쏙 찾는 기술 나왔다
2014.12.09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기술을 개발한 만큼 성체줄기세포를 대량
배양
해 질병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세포사멸과 질병’ 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05
도와주는 ‘보디가드 단백질’이 있음을 알아냈다. 김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세균을
배양
하기 전에는 세균이 어떤 종류인지, 어떤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면서 “환자의 피나 소변을 채취한 뒤 ‘보디가드 단백질’을 표지 단백질(바이오마커)로 사용해 30분 만에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70년대다. 1975년 사람의 피부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를
배양
해 세포층을 만들었다. 1990년대에는 모낭에서 줄기세포를 찾았고, 1993년에는 피부줄기세포의 마커도 찾아 피부세포가 피부줄기세포에서 분화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1998년에는 피부암을 활성화시키는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보자. 그림 (나)는 야생형 대장균과 돌변변이 대장균 A와 B를 젖당만 있는 상황에 넣고
배양
했을 때의 상황을 나타낸다. 대장균 A는 젖당을 처음부터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조절 유전자가 없도록 만든(결실된) 돌연변이 대장균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장균 B는 아예 젖당을 ... ...
“칼에 찔려 하반신 마비, 수술후 다시 걸어”…혁신적 치료법은?
동아일보
l
2014.10.21
면역학적으로도 안전하다. 연구진은 피디카 씨의 코안에서 채취한 후각초성화 세포를
배양
한 뒤 2주 후 손상된 척수 부위 위와 아래에 주사로 주입했다. 손상 부위 간격이 8mm나 됐지만, 후각초성화 세포를 이식한 후 양쪽에서 신경섬유가 자라면서 간격을 촘촘하게 연결했다. 피디카 씨는 매주 5일,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다르기 때문에 개발 과정에서 실패율이 높다. 최근 우리 연구팀이 바이오칩에서
배양
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서 인간의 심장과 간에 대한 실험 모델을 만들었다. 보통 신약 개발이 실패하는 이유가 간과 심장에서 나타나는 독성반응 때문이다. 심장근육세포와 간세포로 분화된 ... ...
매주 토요일, 우리는 멘토 만나러 간다
2014.10.19
정말 살아있는 세포예요? 그런데 세포는 어디서 구해요?” 현미경으로 세포
배양
액이 담긴 실험접시(플레이트)를 들여다보는 여고생의 눈빛은 사뭇 진지했다. 이달 4일 숙명여대 약대에는 주황색 티셔츠를 입은 여고생 10여 명이 모여 현미경 사용법을 익히고, 세포를 관찰했다. 이곳은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배양
했을 때 장내미생물 조성이 날씬한 쥐 대변
배양
액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양
액에 사과추출물을 더할 경우 어떤 미생물은 더 잘 자라게 하고 어떤 미생물은 생장을 억제하는데 그 결과가 날씬한 쥐 대변의 미생물 조성과 비슷해지는 것. 예를 들어 날씬한 쥐나 사람에서 많이 ... ...
‘아바타 마우스’는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일 것인가
2014.10.05
시작할 당시인 2005년에는 새로운 실험용 쥐를 개발하는 연구가 한창이었다. 실험실에서
배양
해 둔 암세포를 쥐에게 주사하던 기존 방법은 효율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연구가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췌장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 밖에 되지 않는다. 기사에서는 올리브 교수를 비롯한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같은 공간적인 제약 등 물리적인 변화가 세포의 성격을 바꾼다는 발견을 한 게 평소
배양
용기의 벽면 같은 외부 교란이 줄기세포 분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사이 박사의 발견과 맥을 같이 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줄기세포분화에서 거장이 되어가고 있던 사사이 박사는 2011년 리켄에 들어온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