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세균 신종등록 '금메달' 감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있다”며 “암수구별이 되지 않아 명확히 종을 구분하기 어려운 세균의 정의를 보완하고
배양
이 어려운 흙 속 대부분 세균의 DNA를 직접 뽑아내는 ‘메타게놈’ 연구를 해나가는 방식으로 신종 세균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있는 조건을 찾으면 ‘생물공장’에서 화합물을 대량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단독
배양
이 어려울 경우 해면을 대신할 수 있는 숙주를 찾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해면이 밝힌 진실? 이번 연구로 해면이 화학자들을 의기소침하게 할 정도로 구조가 복잡한 여러 분자를 만들어내는 ... ...
사료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발생량 얼마일까 궁금하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이에 연구진은 소의 반추위에서 분해가 가장 잘 된다고 알려진 ‘밀’을 특수
배양
장치에서 24시간 발효시켜 얻은 메탄량을 기준(100)으로, 단백피(25)·대두박(85)·야자박(45)·옥수수(93)·채종박(54)·팜박(42) 등 기타 주요 사료 6종의 메탄량 상대지수를 구했다. 그리고 이를 물질의 ... ...
“제3의 만능세포 논문 화상데이터 조작 의혹”
동아일보
l
2014.02.17
- 암 세포 박살내는 ‘와송’을 아시나요? - 우주의 블루오션을 찾아라…배아 줄기세포
배양
, 신약 개발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에디터 칼럼] 황우석과 씻김굿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만든 것이 맞다”거나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인간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
배양
은 허위라는 판정이 있은지 9년 만의 반전”이라고 호들갑을 떨어서는 안되는 상황이다. 사실 황 박사의 부활소식을 듣고 싶어하는 언론이나 대중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사촌이 땅을 사면 ... ...
녹조로 시달리는 영산강 가치가 年3150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투입해 다양한 녹조방제기술 사업에 나섰고, 최근 광주시에서도 3억 원을 들여 천적
배양
장치를 설치하기도 했지만 효과는 여전히 미지수다. 일부 전문가들은 4대강 사업으로 보가 물 흐름을 막았기 때문에 조류가 크게 번식하게 됐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영산강 뿐만 아니라 4대강 사업 지역 ... ...
iPS 뛰어 넘는 만능줄기세포 기술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4.02.03
세포를 25분간 처리했다. 연구팀이 이런 자극에서 살아남은 세포를 수 일 동안
배양
한 후 쥐의 체내에 주입한 결과, 신경세포나 근육세포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일반 체세포를 간단한 산성처리만으로 만능줄기세포로 만들어 다양한 기관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 ... ...
사람마저 살처분 하는 세상 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제지하려고까지 했다. 네덜란드 에라스뮈스 메디컬센터 론 푸히르 교수팀은 계대
배양
(계대감염)을 통해 공기전염이 가능한 바이러스를 만들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 숨는 놈, 도망치는 놈, 퍼트리는 놈 영화 속에서는 다양한 모습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아예 집 밖으로 ... ...
신경세포 발달 조절하는 인공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점 모양으로 촘촘히 찍은 손톱크기의 초소형 칩을 제작했다. 이 칩 위에서 신경세포를
배양
하면, 컴퓨터용 반도체처럼 신경회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이 기술은 필요한 곳으로 뇌신경 세포가 자라지 못해 생기는 자폐나 퇴행성 질환 등 신경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 ...
줄기세포 키우는 나노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 Scientific Reports 제공 연구팀은 줄기세포가 우리 몸 속에서 자라는 환경과 실험실에서
배양
되는 환경에 큰 차이가 있다는점에 착안해 ‘나노지지체’에 주목했다. 몸속에서 줄기세포가 자라는 실제 환경은 수백nm(10억 분의 1m) 수준의 길고 좁은 공간인데 반해, 실험실에서는 줄기세포의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