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뉴스
"
연결
"(으)로 총 4,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의 완전한 '뇌 지도' 완성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커넥톰은 한 개체의 신경계 안에 존재하는 모든 뉴런의
연결
망을 나타낸 지도를 의미한다. 앞선 연구에선 지렁이나 거머리 등 뉴런의 개수가 수백개에 불과한 곤충에 대한 커넥톰만이 작성됐다. 연구팀은 복잡한 의사소통과 학습활동을 수행하는 곤충에 대한 커넥톰이 ... ...
[주말N수학] 원주율에 '진심'인 사람들...소수점 100조 자리까지 계산
수학동아
l
2023.03.11
드래곤(본명 김민재)’의 수학 노래를 이용한 챌린지를 진행합니다. 왜 수학과 음악을
연결
하려는 걸까요? 지금, 수학을 악보에 그리는 사람들을 만나봅니다. 이지수 감독 Q. 파이송 의뢰를 받았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나요. "막막했어요. 보통 다 만들어진 영상을 보면서, 그곳에 들어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빨리 뛴 게 불안감의 원인은 아니다. 가슴이 두근거리는 걸 느끼고 카페인의 부작용과
연결
짓는 순간 불안한 감정이 생기고 그 결과 교감신경 활성이 더 커져 두근거림이 심해졌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 심증은 있지만 물증은? 그런데 오늘날 감정 이론은 감정의 형성과 세기에 몸도 역할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해안에서 1킬로미터 떨어진 곳의 수심 12미터 바다 밑에 만들어놓은 방출구까지
연결
하는 해저터널의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오염수(contaminated water)를 한꺼번에 그대로 태평양에 방류하는 것은 아니다. ALPS라는 다핵종제거설비로 방사성 물질을 일차 제거한 ... ...
"수능 일반선택 미적분Ⅱ·기하 제외는 사실상 이과 해체"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결과적으로 단순한 ‘학력 저하’ 수준을 넘어 사고의 확장성 마비 및 대학교육과정과의
연결
고리 붕괴 등 학생들의 미래에 회복할 수 없는 매우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학회는 그동안 수학 과목 학습 내용의 축소가 학습 부담 경감이나 사교육 약화라는 순기능으로 ... ...
뇌세포와 컴퓨터 '콜라보'...바이오컴퓨팅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작은 칩에 트랜지스터를 넣는 데는 물리적 한계가 있지만 뇌에는 1015개 이상 지점을 통해
연결
된 약 1000억 개의 뉴런이 있다”며 "뇌의 저장 용량은 무려 2500TB(테라바이트·1TB는 1024GB)로 추정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뇌 오가노이드를 바이오 컴퓨터로 발전시키기 위해 우선 규모를 키울 ... ...
[프리미엄 리포트] AI·자율주행·암호화폐...미처 몰랐던 탄소 배출
과학동아
l
2023.03.04
파일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터로 전송된다. 라우터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
해 주는 일종의 중계 장치다. 정보를 받은 라우터는 와이파이 등 통신망을 통해 목적지인 스마트폰으로 파일을 전송한다. 이 과정을 거친 데이터는 스마트폰에서 영상으로 실시간 재생된다. 데이터 센터는 ... ...
산호 살리는 차세대 자외선 차단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다양한 고리 모양의 분자를 무작위로 생성한 후 고리 모양의 분자를 서로 다른 조합으로
연결
해 자외선을 흡수하는 고분자 후보군을 만들어 이 중 최적의 후보를 선정했다. 연구팀이 쥐를 대상으로 개발한 시제품을 실험한 결과 옥시벤존, 아보벤존 등이 함유된 기존 자외선 차단제보다 피부 ... ...
작은 로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해 뇌 신경망과
연결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DGIST 교수는 “전기 생리학적 분석법으로 마이크로로봇과 쥐 뇌 신경 조직을 기능적으로
연결
할 수 있음을 검증했다”며 “개발된 기술이 향후 신경질환 및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표적 정밀 치료의 검증을 위한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전기 등 외부자극에 의한 금속-절연체 상의 생성 비율이 달라지는 점을 활용해 시냅스의
연결
강도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0과 1의 이진법 기반의 컴퓨팅이 아닌 여러 가지의 저항 상태를 표현·저장할 수 있는 스위칭 메모리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메모리 소자가 이진법 기반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