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뉴스
"
지상
"(으)로 총 1,69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부족한 병실, SW 이용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9
도면과 실제 건설 간 오류를 좁혀 나갔다. 2017년 5월 첫 삽을 떠 3년 만에 지하3층,
지상
11층 규모의 병원을 건설했다. 병상도 총 527개가 운영된다. 병실 전체에서 자연 조망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자연 조망이 보이는 병상의 경우, 환자의 입원기간이 짧아지는 효과가 연구로 증명되기도 했다. ... ...
외계행성 탐사 위성 '키옵스' 코로나19 딛고 이달 말 본격 가동
연합뉴스
l
2020.04.17
감지기의 내열성도 필요 조건을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측광학적 정확도나
지상
관제소 명령 수행 등에서도 합격점을 얻었다. 키옵스는 궤도 시험가동 마지막 2주 동안에는 외계행성이 별 앞을 지나는 천체면 통과(transit) 때 별빛이 줄어드는 현상을 직접 관측했다. 대상은 약 320광년 ... ...
육군, AI·드론 기술 자체 개발한다…기술연구소 설립 검토
연합뉴스
l
2020.04.14
'미래육군과학기술연구소'를 개소하기도 했다. 미래육군과학기술연구소는 미래
지상
작전 기본개념 발전과 전력 수요 창출에 필요한 과학기술을 연구한다. 육군은 외부기관 협업뿐 아니라 군내 기술연구소를 설립해 자체적인 기술력 확보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 ...
공중에서 떨어지는 로켓 낚아채 회수...로켓랩 소형로켓 회수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0
성공했다. 대기권 재진입 기술은 1단과 2단 로켓이 분리된 다음 1단 로켓이 기수를 돌려
지상
으로 향하는 기술이다. 이번에 회수 실험까지 성공하면서 마지막 실증만을 남겨놓은 상태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관련 실험은 하반기로 미뤄질 전망이다. 로켓랩은 뉴질랜드 정부가 코로나19 심각 단계를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억 분의 1K가 최고 기록이다. 현재 인류는 100pK보다 낮은 온도까지 도전 중이다. 이 온도는
지상
이 아닌 400km 상공의 우주공간에 꾸린 실험실에서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18년 ‘저온원자실험실(CAL)’을 국제우주정거장에 올렸다. 이곳에서 기존 기록보다 다시 100분의 1 차가운 ... ...
[프리미엄리포트] 퀀텀닷으로 암 진단하는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20.04.04
크기를 조절하면 1000nm 이상 파장의 빛들도 흡수할 수 있는 만큼 이론적으로는
지상
에 도달하는 태양 스펙트럼의 전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10년 광전환 효율 약 3%로 시작된 퀀텀닷 태양전지는 현재 최고 효율 16.6%까지 도달했다.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엄청나게 가파른 상승 추세다. 다만 ... ...
[뉴스페이스&뉴디펜스]우주 모빌리티와 새로운 우주무기의 가능성
2020.03.30
강철 비'가 내린다. 미국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가 개발 중인 재사용 로켓 스타십.
지상
에서 우주로 화물을 쏘아올리는데 드는 물류비를 1kg에 13달러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누리꾼이 지목한 '신이 던진 막대기'는 이 '게으른 개'를 우주궤도로 올려서 손가락 ... ...
지구 최악 '페름기 말기 대멸종' 육지-해양 멸절 시기 달라
연합뉴스
l
2020.03.30
미터의 침전물에서는 페름기의 대표적 양치류 종자식물인 '글로소프테리스'가 없어 이때
지상
에서 대멸종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됐다. R.A. Gastaldo 제공 이 시기는 중국에서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 측정된 것보다 약 30만년가량 앞서는 것이다. 네브래스카대학 연구팀이 호주 대륙에 ... ...
일론 머스크, 스타십 새 모델 'SN3'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7
장착한 형태의 Mk1과 Mk2를 제작했다. 하지만 이후는 순탄치 않았다. Mk1은 지난해 11월
지상
테스트 도중 가스가 분출하는 사고를 겪었다. Mk1의 부품 중 일부가 하늘로 치솟기도 한 큰 사고였다. 이후 스타십의 시제품은 이름을 SN으로 바꿨다. 하지만 SN 스타십의 첫 시제품인 SN1도 지난달 28일 압력 ... ...
KSTAR, 플라스마 1억도 8초간 유지 성공…세계 최장 시간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5배로 대폭 연장했다. 핵융합은 연구팀은 태양에서 일어나는 수소핵 융합 과정을
지상
에서 재현해 에너지를 만드는 기술이다. 수소와 비슷하지만 핵 속 중성자의 수가 다른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이용한다. 이들 물질을 도넛 모양의 실험장치인 ‘토카막’ 내부에 가둔 뒤 가열해 이온과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