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활
생계
생명
인생
목숨
생애
라이프
스페셜
"
삶
"(으)로 총 1,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경우일 수 있다. 화가 나는 사건 역시 그렇다. 불필요한 반응인 경우가 존재한다. 내
삶
에는 좋은 일보다 나쁜 일이 더 많은 거 같고 인생에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때에도 곧장 좌절에 빠지기 전에 혹시 나쁜 일들을 더 크게 지각하는 과한 반응이 아닌지(그럴 가능성이 높다) 생각해 볼 필요가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
2017.04.16
말을 들려달라며 축사를 마쳤다. 늘 바쁘게 성취를 위해 달려가지만 가끔은
삶
을 어떻게 살아야할지, 어떻게 해야 후회스럽지 않은 인생을 살 수 있을지 같은 ‘큰 질문’들도 던져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그래야 길을 잃지 않게 될테니 말이다. ※참고문헌 Lovell, J. (2013, July 31). George Saunders’s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등 일상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왕조 위주의 역사책에는 없는 서민들의 생생한
삶
의 현장을 엿볼 수 있다. 책의 4부 ‘사적인 세계’는 잠을 다루고 있는데 지금까지 옛날 사람들의 수면에 대해 막연히 품고 있던 생각이 완전히 틀렸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토머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 ...
기근과 말라리아로 덮인 나이지리아
동아사이언스
l
2017.04.10
주요 거점에서 보코하람 세력을 내쫓는데 성공합니다. 그와 동시에 마이두구리의 참혹한
삶
이 세상에 공개됐습니다. 850만 명이 인도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고, 510만 명이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었습니다. UN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는 이대로 가다간 6월이면 7만 5000명의 아이들이 영양실조로 죽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동기가 중요하다고 말들은 하지만 살다보니 막상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우리
삶
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떤 행동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단지 그 자리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일이 잘못된 책임을 다 뒤집어쓰는 경우도 있고 엄청난 실수를 했음에도 별다른 피해가 나지 않아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
2017.03.25
피해를 끼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모자란 잠’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삶
에 많은 악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좀 더 중요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모자란 잠의 악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최근 심리과학지(Psychological Science)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
2017.03.19
때는 괜찮은데 나이가 들면서 모든 게 안 좋아질 것이라던가 20대를 지나면 앞으로의
삶
은 계속 아래로만 꺾이게 된다는 통념들에 대해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발견은 흥미로워 보인다. (물론 모두에게 이런 패턴이 나타나는 건 아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40대가 되면 더 정서적으로 안정될지도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떨었다. 지난 2010년 DNA 게놈 해독으로 데니소바인의 실체가 확인되면서 이 고인류의
삶
의 여정이 재구성됐다. 즉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에서 약 40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이 갈라졌고 그 뒤 데니소바인은 동진을 해 일부는 시베리아로 일부는 동남아시아를 거쳐 오세아니아까지 갔을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몸에 사는 미생물은 몸을 구성하는 세포 수보다 10배나 많습니다. 인간이 미생물한테
삶
의 터전을 제공하는 격이죠. 사람의 건강을 결정하는 대부분의 요소는 미생물의 종류와 수, 다양성에 달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포스텍 생명공학동 4층 연구실에서 만난 임신혁 IBS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 ...
난민과 이주민이 정말 ‘내 나라’에만 많이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말한다. 이런 세계적인 현상에 발맞춰 네이처에서는 이주민 (혹은 난민) 과학자들의
삶
에 대한 특집 기사를 내놨다. 시리아에서 브로커를 통해 망명해 독일에서 일하고 있는 지질학자 모하메드 알리 모하메드 씨의 사례를 비롯해, 그동안 미국에 와서 업적을 남겼던 이주민 과학자들이 현재 미국에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