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표면
에 쌓이면서 온도가 올라가 1억 도를 넘게 되면 핵융합 반응이 개시되면서 별
표면
에서 격렬한 폭발이 일어난다. 이게 신성이다. 신성폭발이 일어난 뒤에도 백색왜성은 여전히 남아있고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이 계속 들어와 다시 폭발할 수 있다. 이런 별을 격변변광성(cataclysmic variable)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달걀노른자를 갈아 바르거나 돼지고기를 갈아 발라 일정 시간 둔 뒤 필름
표면
을 분석했는데 적외선분광 패턴이 논문의 패턴과 비슷했다며 데이터로 제시했다(필자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다). 논문에서 애벌레 효소의 작용으로 폴리에틸렌이 분해돼 나온 에틸렌글리콜 피크의 실체는 필름에 바른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사이언스’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DNA의
표면
을 금속 입자로 염색하는 ‘ChromEMT’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유사분열 중인 세포 속 DNA의 구조를 관찰했다. 유사분열은 유전체 양의 변화가 없는 세포분열로 생식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의 분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즉 습도에 따라 피부가 습기를 머금어 수화돼 팽창하는 정도가 다르고 아울러 피부
표면
의 수분이 증발되며 온도가 내려가는 속도에도 영향을 주므로 이 둘을 합쳐 지각한 결과 우리는 습도를 ‘느낀다’고 설명했다. 즉 습도 지각에는 기계감각(촉각) 경로와 온도감각 경로가 동원된다는 말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끊임없이 부딪치며 흡수와 방출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서서히 잃고 마침내 태양
표면
에 도달했을 때는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으로 바뀌게 된다. 이 과정이 대략 십만 년 걸린다. 따라서 오늘 낮 내가 본 햇빛 가운데 10%가 10만 년 전 핵융합 과정에서 생겨난 반물질에서 비롯된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제 2의 메르스 ‘라싸 바이러스’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4
인해 사망한다. 연구진은 X선 결정법으로 이 바이러스의 구조를 3차원 모델로 구현,
표면
에 있는 ‘당 단백질’의 구조를 밝혔다. 이 구조를 알아내면 바이러스와 항체가 결합하는 조건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에 백신 개발에 한걸음 더 다가선 것으로 평가된다. 라싸 바이러스의 당 단백질은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
2017.05.07
‘의미’를 찾는 동물이다. 달의
표면
에서 절구 찧는 토끼를 읽어내고 그 전엔 뭔지 전혀 몰라서 답답했는데 이젠 좀 달을 좀 알게 된 거 같은 느낌을 갖는다. 그냥 아무 의미 없이 랜덤하게 찍혀져 있는 점일 수 있는데 거기서 사람이나 동물 얼굴을 찾아내고 좋아한다. 우연히 일어난 일일 뿐인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굴참나무는 떨어졌다. 대표적인 가로수인 은행나무도 별로였다. 참고로 미세먼지는 잎
표면
의 왁스층에 붙잡히거나 기공을 통해 식물체 안으로 들어가 쌓이거나 식물효소의 작용으로 다른 성분으로 바뀐다. 따라서 미세먼지 제거 능력이 뛰어난 식물을 많이 심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지만 막상 ... ...
[표지로 읽는 과학_네이처] 반도체 기판 무한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3
네이처 제공 인쇄를 마친 종이가 프린터에서 빠져나오듯, 전자회로가 딱딱한 기판에서 연이어 떨어져 나온다. 이번 주 학술지 ‘네이처’ ... 수도 있다”며 “
표면
과 상관없이 어디나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나 의류의
표면
을 코팅하는 전자기기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수 있다. - Michel C. Milinkovitch 제공 연구팀은 세포 내 반응과 확산이 아닌, 도마뱀 피부
표면
인 비늘에 집중했습니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1개의 초록색 비늘을 기준으로 4개의 이웃하는 검정색 비늘이 나타났고, 반대로 1개의 검정색 비늘을 기준으로 3개의 이웃하는 초록색 비늘이 나타나는 것을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