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프로젝트"(으)로 총 1,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과학] WildToon #3 우리나라 모든 매미를 찾아라2018.09.14
- 이야기는 웹툰(WildToon), 스토리콘텐츠(WildStory), 정기강연(WildTalk)으로 이어집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C Program과 함께합니다. 매미 연구원의 더 자세한 연구 스토리가 궁금한 친구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 와일드 ... ...
- [지구를 위한 과학] WildToon #2 꾸룩새 연구소로 놀러오세요! 2018.08.14
- 이야기는 웹툰(WildToon), 스토리콘텐츠(WildStory), 정기강연(WildTalk)으로 이어집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C Program과 함께합니다. 제비연구원의 더 자세한 연구 스토리가 궁금한 친구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 와일드 ...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동아사이언스 l2018.08.11
- 남방큰돌고래를 시작으로 9월 제비, 10월 매미, 11월 민물고기 강좌가 이어집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C Program이 함께합니다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07.11
- 제비, 매미, 민물고기를 연구하는 젊은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C Program이 함께합니다. 자유롭게 헤엄치고 있는 돌고래를 본 적 있나요? 영화에서나 봤던 이 멋진 풍경을 제주도에서도 볼 수 있어요. 제돌이로 잘 알려진 ‘남방큰돌고래’가 제주도 바다에 살고 ... ...
- [지구를 위한 과학] WildToon #1 돌고래 추적자들2018.07.11
- 이야기는 웹툰(WildToon), 스토리콘텐츠(WildStory), 정기강연(WildTalk)으로 이어집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C Program과 함께합니다.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의 탐사 내용이 궁금한 친구들은 아래 기사를 확인해 주세요~! ▶ 기사 보러 가기 ... ...
- 멸종위기종의 천국 DMZ, 생태공원으로 거듭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8.06.22
- 함께 생태공원을 만들기 위한 일을 해 왔다. 생태 지도 제작 등 분트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자연보전청이 지원해 주었다. Q. 한국도 독일처럼 DMZ 생태공원을 만들 수 있을까? 그뤼네스 반트가 만들어질 때 독일 정부는 이에 대한 계획이 전혀 없었다. 하지만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이런 논의를 하고 ... ...
- [사이언스지식IN]남북 협력으로 북한 산림 푸르러질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5.09
- 함께 2003년부터 10여년 넘도록 황해북도 수안군을 중심으로 경사지 관리를 위한 시범프로젝트인 ‘주민참여형 혼농입업 개발’ 방식을 진행했습니다. 이 방식의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산림복원 10년 계획(2014~2025) 및 임농복합경영 추진 전략 (이하 임농복합경영)을 세워 이를 확대 적용하려는 ...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2018.04.27
- ICDP)에 백두산 화산 마그마 조사연구인 ‘엄마(UMMA·Ultra-deep Monitoring on Magma Activity) 프로젝트’를 제안한 상태다. 나무의 나이테처럼 백두산에는 화산 폭발의 역사가 기록돼 있다. 시추를 통해 퇴적물을 파내면 백두산이 몇 년에 한 번씩 분화했으며, 그 규모가 어느 정도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과학동아 l2018.04.26
- 평가가 진행됐지만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중단됐다. 또 1997~2011년 북한 정부가 광업 프로젝트에 외국 투자자들의 제한적인 참여를 허용했을 때, 한국광물자원공사, 태림석재, 서평에너지, G-한신 등 우리 측에서는 4개 기업이 참여했다. 하지만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에 따른 5·24 대북제재조치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손 놓고 있는 것 아닌가. 이런 막연한 불안 속에 국내 기업 컨소시엄이 칠레 양극재 생산 프로젝트 사업자에 선정됐으니 대문짝만한 기사가 나갈 만도 하다. 전기차는 20세기 말 또는 21세기의 발명품이 아니다. 19세기 말 자동차가 막 나오던 무렵 전기차의 비중이 오히려 더 높았다. 사진은 1899년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