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프로젝트"(으)로 총 1,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알파 센타우리’에 광속의 5분의 1 수준인 초소형우주선 1000개를 보내는 ‘스타샷 프로젝트’를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지구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영원할 수 없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지구 밖 별들로 시선을 돌리고 우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2014년에는 영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조사한 결과 제당업계가 만든 당연구재단(SRF)이 돈을 댄 심혈관계질환 원인 규명 연구 프로젝트가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위험성은 부각하고 당의 위험성은 은폐한 결과를 1967년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폭로했다. 그 뒤로도 이런 떠넘기기 전략이 계속됐고 그 결과 미국 보건당국은 오랫동안 저지방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나 역시 아직도 그런 사고방식이 익숙하지만 생각해보면 작은 프로젝트에서도 팀원 간의 갈등, 의사소통 문제, 정확하지 않은 정보, 주위의 방해, 컴퓨터 고장 등 다양한 문제를 마주했던 기억들이 있다. 간단해 보였던 일이 정말 간단한 것으로 드러났던 경험이 되려 적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어디가 다른지를 보여준 논문이 실렸다. 독일 괴테대의 연구자들은 ‘1000 기능커넥톰프로젝트’에서 신경영상 이미지 데이터가 충분한 309명의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능이 뇌의 네트워크 구조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커넥톰(connectome)은 2005년 미국 ...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17.10.15
- 스위스 제네바대 등 여러 대학을 포함해 참여한 연구원만 100명을 훌쩍 넘는 거대 프로젝트입니다. 컨소시엄 내용은 이렇습니다. 질병 없는 사람의 시신을 기부 받은 뒤, 심장이나 폐, 뇌, 피부, 혈관, 지방 등 각 조직 별로 유전자를 분석하는 겁니다. 각 조직의 세포 별로 어떤 유전자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해결책을 촉구했고 결국 칼텍의 로커스 보트 교수를 초대 소장으로 영입해 1987년 라이고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바이스는 부고에서 드레버가 라이고의 개념을 확립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인정하면서도 글 말미에 두 사람 사이가 얼마나 험악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들려줬다. 아무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사이언스’ 기사에서 탈석탄. 탈원전. 새 정부 들어 시작된 에너지 정책 대전환 프로젝트는 위의 두 단어로 요약된다. 탈석탄 정책이야 파리기후변화협약 체제를 맞아 오히려 때늦은 감이 있지만 (지난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2030년 전망치 대비 37%를 줄이겠다고 발표해 국제무대에서 찬사를 ... ...
-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 앞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거라는 위기감을 느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거절 100일 프로젝트(100 Days of Rejection)”를 시작했다. 황당한 시도인 듯 보이기도 하지만 100일 동안 하루에 하나씩 다양한 종류의 거절을 맛보아서 거절에 익숙해져 보자는 의도였다고 한다 (Jiang, 2016). 첫 날 그는 낯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발전 속도를 끌어올리려면 생명의학연구는 오히려 속도를 늦춰야 한다. 즉 진행하는 프로젝트 수를 줄이고 하나하나를 좀 더 엄밀히 수행해야 한다. - 리처드 해리스 자연과학, 특히 실험과학이 다른 학문에 비해 엄격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재현성에 있다고들 한다. 즉 언제 어디서 누가 실험을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년 전 인류(아이)의 손가락 마디뼈 하나가 나왔다. 당시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해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던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스반테 페보 박사팀은 뼈를 건네받았고 2010년 추출한 DNA에서 게놈을 해독하는 성과를 올렸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대략 40만 년 쯤 공통조상에서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