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90분만에 진단하는 마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유해물질에 반응하는 다양한 센서를 부착한 입는 옷 형태의 기술도 선보였다. 콜린스
교수
는 “세포합성학 기술이 웨어러블 기술로 확장될 수 있고 마스크 진단을 포함한 새로운 진단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의료진이나 군인이 차세대 웨어러블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②변화와 위기의 시대, 대학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
2021.06.28
박사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했고 2009년부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로 일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초연구진흥위원을 지냈고 한국과학기술한림원 Y-KAST 창립멤버, 기초연구연합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
'5년내 치매 걸릴 확률 얼마일까' 온라인 치매 예측계산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분석해 향후 5년 안에 치매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어느 정도 인지 예측한다. 피셔
교수
는 “이 예측기의 장점은 의사를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라며 “계산기에 입력해야 할 정보 쉽게 답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말했다. 이 계산기는 연구팀이 영국의학저널(BMJ)이 발간하는 의학학술지 ... ...
대사증후군 있으면 수면무호흡증 발병 위험 최대 1.96배 높다
연합뉴스
l
2021.06.28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날 확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김수환
교수
는 "2009년에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들을 10년 동안 추적하면서 수면무호흡증의 발생을 살펴보고 추세를 관찰한 연구"라며 "대사증후군과 수면무호흡증 간의 인과관계를 밝힌 데 의미가 있다"고 ... ...
인류문명 등장 이후의 지구를 본 별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외계생명체 탐사 목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칼테네거
교수
는 “이들 별은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의 가장 앞좌석에 앉아 인류를 지켜보고 있는 것과 같다"며 "인류가 우주를 탐색하는 계획을 세우듯 태양계 너머에서도 누군가 인류를 찾아나설 계획을 세울 수 ... ...
[과학게시판] ‘2021 양자정보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CTO)이자 미국 듀크대
교수
인 김정상
교수
와 최순원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의 대담강연도 열린다. 자세한 내용은 양자정보주간 홈페이지(https://qweek.kr/qweek/2021)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든 행사는 유튜브 등을 통해 생방송으로 중계한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메이커들과 협력을 통해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활용하는 방안은 이 문제에 대해 과학 기술이 제시하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 명예
교수
는 “폐기물 처리는 기후변화, 자원고갈 등 현재 지구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중요한 열쇠”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보려면? 과학동아 6월호 [기획] 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Part1 ... ...
‘세포는 계획이 다 있구나’…자가포식으로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 분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파킨슨병을 유발한다는 연구도 나왔다. 밝혀낸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
교수
는 자가포식 작용을 처음 밝혀낸 공로로 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치매를 일으키는 타우 단백질이 UBE4B와 STUB1 분자의 작용에 의해 자가포식체를 경유해 분해되는 과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모 네쉐르 라믈라 발견, 네안데르탈인 기원 흔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중 일부는 레반트 지역에서 유럽으로 넘어갔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허스코비츠
교수
는 “새 발견 이전에 대부분 연구자들은 네안데르탈인이 유럽의 이야기라고 믿었다”며 “이 화석은 유럽 네안데르탈인 조상이 이르면 40만 년 전 레반트에 거주했고 유럽 혹은 아시아로 이동했음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왜 힘들까?
2021.06.26
대체 왜 우리는 실제보다 더 삶을 힘들게 느끼는 걸까? 미국 듀크대의 마크 리어리
교수
는 저서 《나는 왜 내가 힘들까 (원제: 자아의 저주)》에서 인간만의 독특한 자랑거리로 여겨지는 자아와 우리의 자아성찰능력이 그 원흉이라고 보았다. 리어리는 상당한 불행이 과한 자기인식, 즉 우리가 ... ...
이전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9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