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젠더를 고려한 알코올 정책'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22
정책학과
교수
와 김대중 동아대 국제전문대학원
교수
, 김수영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의 발표가 진행된다.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는 지난 18일 ‘흉부외과 필수진료의 접근성과 선택권 제고를 위한 보험정책’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희소·긴급도입 필요 의료기기 ... ...
시카고 건물에 부딪혀 죽은 철새 표본이 밝혀준 이주 시기
연합뉴스
l
2021.06.21
늘어난 것도 밝혀졌다. 논문 공동 책임저자인 미시간대학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조
교수
벤 윙거 박사는 "건물에 충돌한 철새 자료가 봄철 이주가 일러진 증거를 분명하게 보여줘 놀랐다"면서 "전체 자료를 검토하기 전까지는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이주 시기가 변화해 왔다"고 설명했다. ... ...
'예방률 47%' 초라한 성적 받은 큐어백의 mRNA백신, 과학자들 왜 실패에 주목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큐어백은 회복기 환자와 중화항체 정도가 비슷했다. 존 무어 미국 코넬대 미생물학부
교수
는 사이언스에 “백신의 면역원성이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큐어백의 염기서열 최적화에 문제가 있다거나, 저장 온도가 다른 백신과 달리 저온이기 때문에 저장과 운송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맞고 화이자 맞아도 괜찮을까…효능 있지만 근거는 여전히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건강한 면역반응을 보이는 젊은 층에서 부작용 반응이 더 크게 일어난다. 스네이프
교수
도 이번 교차 접종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부작용 반응의 빈도가 더 어린 연령층에서 만연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 교차접종 연구들 모두 예비 데이터...동료 평가 거치지 않아 6월 7일(현지시간) ... ...
뇌질환 분석하는 유연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아교세포 및 면역세포 발현이 기존 장치보다 현저히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다. 박성준
교수
는 “이번 연구는 하이드로젤을 다기능 신경 인터페이스의 구성물질로 사용해 수명을 대폭 늘렸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등 장기간 동안 분석이 필요한 뇌 신경 질환 연구가 ... ...
“해양 산성화로 녹은 탄산칼슘,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력 복원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말했다. 다만 이런 효과가 지금의 해양 산성화 속도를 늦추기에는 역부족이다. 이
교수
는 “2010년 이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탄산이온이 해수 표층으로 돌아오는 속도가 해양 산성화를 늦추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고 말했다. ... ...
백신 접종률 낮은 곳 국지적 확산…'2개의 미국'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1.06.21
환자의 급증은 겪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국지적인 급증은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웬
교수
는 "문제는 미국 전체가 아니라 개별 지역사회의 (감염자) 숫자를 봐야 한다는 것"이라며 "바로 지금 병원들이 (환자로) 다시 가득 차면서 대규모 급증을 겪는 지역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 ...
에이즈, 첫 보고 40년..."현대판 흑사병에서 관리만 하는 만성질환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44’로 알려진 1개 백신 후보만이 약 31.2%의 감염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
교수
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HIV는 '움직이는 목표’로 불린다”며 “코로나 바이러스보다도 변이가 많다보니 개발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백신은 평생 치료가 필요한 질병에 대한 가장 ... ...
[위클리 스마트] '공정한 편집자'라더니 이젠 퇴출 대상…예견된 뉴스 AI의 몰락
연합뉴스
l
2021.06.20
한계에 대해선 이미 많은 경고가 있었다. 도미니크 디프란초 미국 리하이대
교수
는 2017년 논문에서 영국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을 복기하며 소셜미디어(SNS) 등이 제공하는 개인화된 뉴스 소비가 여론의 양극화를 불러일으켜 가짜뉴스의 확산을 ... ...
지구 공학 실험을 멈추다
과학동아
l
2021.06.19
취소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일웅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교수
는 “스코펙스를 둘러싼 논쟁 중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이 바로 실험 기획자와 부작용 피해자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라며 “선량한 피해자가 나올 수 있는 실험이니만큼 시행 이전 철저한 ... ...
이전
921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