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신 생명과학 분야 연구성과 한눈에…‘제17회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8월 개최
과학동아
l
2021.06.15
연세대 의대
교수
가 ‘말귀를 알아듣게 하는 청각세포 만들기’를, 최무림 서울대 의대
교수
가 ‘DNA에 새겨진 우리의 건강 정보 읽어내기’를 강연하는 등 교과서에서 볼 수 없는 최신 의학, 과학 연구를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소개한다. 강연이 끝난 후에는 궁금했던 내용을 연구자에게 직접 ... ...
[과학게시판] 국회 포용국가ESG포럼 창립총회 15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대학원생이 대상이다. 단독 또는 최대 4인 공동연구로 응모가능하다. 대학 학부생은 지도
교수
와 공저하면 지원가능하다. 논문 주제는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활용 관련 자유 주제다. 참가신청은 다음달 12일까지 한국정책학회 이메일(admin@kaps.or.kr)로 접수해야 한다. 응모작 제출기한은 8월 1 ... ...
[의학바이오게시판] '구강질환 특화 인체자원은행 운영' 심포지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인체자원은행장이 ‘질병 특화 바이오뱅크’를, 조영단 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
가 ‘임상정보 표준화’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경희대병원은 14일 성형외과 외래진료센터를 리모델링 오픈했다고 밝혔다. 성형외과 외래진료센터는 기존 외과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외과 공간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3차원 적층형 화합물 반도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인듐갈륨비소(InGaAs) HEMT가 올라간 소자. KAIST 제공 ■ KAIST는 김상현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하부 소자를 만들고 상부에 박막층을 입힌 후 상부 소자를 만드는 모놀리식 3차원 집적을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 소자 집적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실리콘 기판 위에 아날로그 신호 증폭 ... ...
지구충돌 위험 140m이상 천체 90% 발견에 한걸음 더 다가서
연합뉴스
l
2021.06.14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애리조나대학의 니오 서베이어 책임연구원 에이미 메인저
교수
는 니오 서베이어가 태양 방향의 지구 근접 천체를 찾아낼 뿐만아니라 "새로 발견된 천체의 크기와 특성 등을 신속히 파악하는 NASA의 능력을 대폭 강화해 지상 망원경과 레이더 관측을 보완할 것"이라고 ... ...
G7, 중국에 코로나19 기원 조사 협력 촉구…전문가들 "유출설 아직 근거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반박도 이어지고 있다. 마이클 아이젠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유전학부
교수
는 트위터에서 “인간 단백질의 33%가 4개 이상의 연속적인 양전하 아미노산을 갖고 있다”고 지적하며 “믿을 수 없는 헛소리”라고 일축했다. 이어 인간 단백질 중 하나인 ‘BEAN1 동형 단백질 1’을 "양전하 ... ...
우주정거장 방사선에 장기간 노출된 쥐 정자서 정상 새끼 태어나
연합뉴스
l
2021.06.14
정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야마나시대학 발생학연구센터 소장을 맡고있는 와카야마
교수
는 지구에서 보관하던 정자와 우주정자로 수정해 태어난 새끼들 간에 차이는 거의 없었다면서 우주정자로 태어난 "모든 새끼는 정상적인 외양을 갖고 있으며 유전적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
AI 스스로 진화하는 능력을 터득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개발에 이미 적용됐다고 밝혔다. 앤드루 강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컴퓨터과학부
교수
는 “구글이 TPU 생산 적용을 공개한 것은 기술이 대규모 생산에 이미 적용될 수준까지 왔다고 보면 된다”며 “AI가 칩 기술의 ‘무어의 법칙’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소리로 병 진단하고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아레주 탈렙자데 미국 겐트대 정보기술학부
교수
는 치매 환자에게 시간과 장소에 대한 단서를 소리로 알려주면 환자들의 불안감을 60% 이상 완화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특정 시각과 위치에서 자연음이나 새소리, 빗소리 등을 가정 내 다양한 ... ...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속도 늦출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개선 없이 타우 병증의 감소만으로도 인지기능이 회복됐다.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
팀이 플렉신-A4라는 단백질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 서울대 제공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정선우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플렉신-A4라는 단백질의 ... ...
이전
925
926
927
928
929
930
931
932
9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