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뉴스
"
속
"(으)로 총 10,64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좋아하는 반도체 ‘흑린’의 환골탈태
2015.03.11
방어막 역할을 하게 만든 것이다. 이렇게 만든 흑린-이산화티탄 화합물은 물
속
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강력한 촉매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탄은 햇빛과 반응해 생물체의 세포막을 공격하는 ‘라디칼’이라는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데, 여기에 흑린이 더해져 광촉매 기능이 강해진 것이다. ... ...
습한 곳에 가면 저절로 분리막 만들어져
2015.03.11
이름 붙였다. 이렇게 만든 3차원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의 기공
속
에 전기전도성 물질을 넣자 전기는 기공을 통해 전달되지만 열은 절연성질의 고분자에 막혀 전달되지 않았다. 일반적인 전기전도성 물질은 열전도성도 좋은데, 김 교수팀이 전기는 잘 통하되 열은 전도되지 않는 소자를 만든 ... ...
동물실험 대체할 바이오칩 개발 가능해졌다
2015.03.10
수 있었다. 김동성 교수팀의 연구결과가 소개된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1일자
속
표지. -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제공 이 인공 기저막이 적용된 인체조직 바이오칩을 만들면 화장품이나 신약 개발을 위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콜라겐이나 젤라틴 등 다양한 ... ...
달팽이관은 고음과 저음을 어떻게 구분하나
2015.03.10
고음과 저음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이유는 달팽이관
속
청각세포가 특이하게 배열됐기 때문이다. 달팽이관 한 쪽에는 고음을 구별하는 청각세포가, 그 반대쪽에는 저음을 인식하는 청각세포가 자리잡고 있다. 이 구조는 ‘트노토피 구조’로 불린다. 게오르크 폰 베케시 박사는 이 구조를 처음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것. 즉 가공식품
속
의 유화제가 장내미생물의 조성을 바꾸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체중 증가를 일으키고(이번 동물실험에 따르면 유화제가 식욕을 촉발하는 장내미생물의 비율을 높여 숙주인 생쥐가 더 많이 먹게 한다)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본다. 처음엔 동기 부여였지만 지금은 실행 가능한 목표다. 우수한 교수들을 계
속
데려와야 한다. 내년 말 2000억 원을 들여 짓고 있는 첨단연구동이 완공되면 연구 여건이 훨씬 좋아진다.” - 연구성과 외에도 UNIST가 자랑할 만한 교육방식이 있나. “정말 인성교육 열심히 시키고 있다. 우리 신조가 ... ...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을까
2015.03.08
되는 스마트워치 그래서일까. 요즘 나오는 스마트워치를 보면 옛날 워키토키와 만화
속
시계가 생각난다. 아직은 상대방의 얼굴을 보며 이야기를 나눌 정도는 아니지만 전화를 비롯해 꽤 다양한 기능이 탑재돼 있다. 이달 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막을 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산업 전시회 ... ...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 ‘수포자(수학포기자)’라면 여기 한 번…
2015.03.08
인류의 정신을 움직인 탄소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된 에너지
속
탄소도 등장한다. 인류의 생존에 꼭 필요한 탄소가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인식되며 줄이고 대체해야 할 부정적인 이미지로 낙인찍혔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탄소의 세기’인 21세기에 ... ...
교실에 과학동아 선물하세요~
2015.03.06
이들 잡지는 전용 책꽂이와 함께 교실로 배송되며, 캠페인에 참여한 사람에게는 도심
속
천문대인 ‘과학동아 천문대’를 체험할 수 있는 5만 원 상당의 2인 초대권이 제공된다. 또 전국 초·중·고교 교사나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복지시설 관계자의 경우 캠페인 홈페이지에 과학 잡지를 선물 받고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SMFIR)’을 개발했다. KAIST는 한국철도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해 시
속
300km급 차세대 고
속
열차에 이 기술을 적용해 테스트를 마쳤다. 조동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는 자기공명방식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우주태양광발전에 전자기파방식 활용 수 십~수 백 km ... ...
이전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9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