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학교"(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세대에 합격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서다. 가령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한 고등학교에서 내신 성적만으로 연세대에 지원할 수 있는 학생 수는 많지 않다. 엄입학처장은 “모든 학생이 학생부종합전형에 적합한 인재일 수는 없다”며 “다른 방법으로도 우리 대학에 지원해 합격할 수 있도록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흥미로운 과학실험과 다양한 창의체험을 할 뿐만 아니라, 여름방학 중에는 서울시 중·고등학교 연합 과학캠프인 ‘사이언스 잼버리’에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이 캠프는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신과람)이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교육원의 후원으로 진행됩니다 ... ...
- [이투스교육]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능’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경쟁 집단의 수준을 언제나 고려해야 한다는 태생적인 맹점이 있다. 재학 중인 고등학교에서 전교 1등을 했다고 해서, 이 학생이 전국적인 수준에서 경쟁력이 있는 학생인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한 학교에서 2명만 지원할 수 있는, 사실상 전교 1등과 2등이 지원하고 있어 내신을 평가요소로 거의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꿈꿔염 씨의 꿈은 화학공학자가 되는 것이다. 어려서부터 수학을 좋아했지만 고등학교 때부터 화학에 흥미를 느끼면서 화공생명공학과로 진로를 정했다. 그는 화학의 매력에 대해 “여러 가지 물질이 반응해서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진다는 점이 무척 흥미로웠다”며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대화를 정리한 ‘대담’이라는 책을 읽고 거기서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썼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을 갖고 조금씩 미래를 준비해 온 그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간은 수능 시험 일주일 뒤에 치른 구술고사였다. 그는 “다른 친구들은 수능 시험이 끝나서 마냥 즐겁게 놀았지만 한쪽 구석에서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공부하는 방식에 대해 고등학교 때 선생님으로부터 크게 칭찬받은 적도 있어요. 고등학교 때부터 이렇게 공부했더니 대학에 와서는 수학을 더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답니다.”이 씨는 앞으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환학생에 도전할 계획이다. 해외로 나가 시각을 넓히고, 더 많은 기회를 만들겠다는 ... ...
- [인터뷰] GIST 대학장 고도경_ “서류전형 70% 반영, 고교 생활 성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고등학교 생활에 성실하게 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며 “고등학교 3년 동안 쌓아온 학생의 성취도에 대한 평가 비중이 크다”고 설명했다. 2단계 면접은 수시의 경우 내적 역량 확인 면접과 수학 및 과학 교과 구술 면접(특기자전형 제외)을 치른다. 내적 역량 확인 면접은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다. ‘벤처창업론’ 등의 수업을 들으면서 기업가의 꿈도 키워가고 있다. 그는 “고등학교 때 막연히 생각하는 대학 전공과 실제 그 전공의 성격이 다를 수 있다”며 “이미 진학한 선배들에게 많이 물어보는 것도 진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내신 열세, 면접 및 구술고사에서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않고 반려동물을 대하듯 직접 만지고 먹이를 주며 서로 교감하는 거예요. 초, 중, 고등학교에서는 모션 트래킹 기술과 AI를 이용해 여러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직업을 경험해 보면 진로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고, 역사 속 장면을 재현한 가상공간에 들어가 더 생생하게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부등식을 좌표에 나타내 원하는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단원은 원래 고등학교 1학년 때 모두 배우던 내용인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경제수학의 ‘함수와 경제’ 영역에서 배우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수능 시험지에는 등장하지 않아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학이 많습니다.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